중·대형아파트 역습 시작됐다
미분양 물량 전년보다 30% 줄어…분양시장서 선전
중소형 인기에 밀려 외면되던 중대형 아파트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빠른 속도로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거래량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년간 공급이 부쩍 줄어든 데다 가격 거품도 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2만1068가구로 집계됐다. 작년 동기 3만729가구와 비교해 31.4% 줄어든 수치로,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8년 12월 8만8381가구에 견줘서는 76.2%나 증발했다.
주택 금액별 거래량 증감률도 전년 4월과 비교해 수도권은 ▲3억~4억원(+41.5%) ▲4억~6억원(+45.1%)대에서, 지방도 ▲3억~4억원(+43.1%) ▲4억~6억원(+58.6%)대에서 증가폭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평균 주택가격이 낮은 지방에서 4억~6억원대의 거래가 급증했다는 것은 대형아파트의 거래가 많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대형아파트의 선전은 분양시장에서도 확인된다. 전 주택형이 중대형으로 이뤄진 위례신도시의 '래미안''아이파크''와이즈 더샵''힐스테이트' 모두 1순위에서 10대 1 이상 높은 경쟁률로 마감됐다. 올 들어 2월에 선보인 '엠코타운 센트로엘'도 중대형 단지임에도 평균 12대 1의 경쟁률과 함께 계약 나흘만에 완판됐다.
대형이 먼저 팔리는 단지도 등장했다. 4월 청약접수를 '구월 보금자리지구 한내들 퍼스티지' 청약접수 결과 전용면적 94㎡ 이상 3개 타입이 순위 내 마감된 반면, 84㎡ 2개 타입은 순위내 모집 가구수를 채우지 못했다. '김포 한강센트럴자이'도 면적이 가장 큰 100㎡가 3순위 수도권에서 3.12대 1로 마감했다.
이 같은 현상은 지방도 마찬가지다. 부산에서 공급된 '센텀 비스타 동원'은 전용면적 109㎡ D타입이 1순위에서 4.63대 1로 청약을 마감했고, E타입도 17대 1을 기록했다. 부산에서 전용 102㎡~135㎡ 아파트에 청약하기 위해 1000만원짜리 청약통장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인기로 평가된다.
장재현 부동산뱅크 팀장은 "중소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며 중소형만 공급된 탓에 중대형으로 갈아타려는 수요층이 많이 형성된 상태"라며 "다만 면적과 관계없이 청약에 앞서 입지, 분양가 등을 먼저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