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4월 전국 땅값 0.18% 상승…42개월째 상승세

국토교통부는 28일 4월 전국의 땅값이 전달(3월)보다 0.18% 상승하며 42개월 연속으로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4월의 지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인 2008년 10월 대비 1.66% 높은 수준이다.

권역별 땅값 변동률을 보면 수도권과 지방권이 모두 0.18%씩 올랐다.

서울시는 0.23%로 지난해 9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했다. 구별로 보면 구로구(-0.06%)를 제외한 24개 자치구에서 모두 올랐다.

구로구는 도시형생활주택 및 다세대주택 수요 감소 등으로 고척동과 신도림동을 중심으로 땅값이 떨어졌다. 지난해 8월 이후 계속 상승하다 9개월 만에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세종시(0.61%)는 3생활권의 성공적인 주택 분양과 임시 터미널 착공 등에 힘입어 전국의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

경기 일산~서울 삼성 간 GTX를 추진한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경기 고양 일산서구도 0.462% 올라 세종시의 뒤를 이었다. 이어 서울 송파구(0.437%), 인천 계양구(0.432%), 대구시 달성군(0.408%) 순이었다.

반면 경기 광명시(-0.22%)는 광명뉴타운 정비구역 해제 요청,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사업 축소 우려 등으로 가장 많이 하락했다. 광명시는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인천시 옹진군(-0.11%), 부산시 중구(-0.09%), 충남 청양군(-0.07%), 서울 구로구(-0.06)가 그 뒤를 이어 땅값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에 올랐다.

용도지역별로 보면 주거지역(0.21%)와 공업지역(0.21%)이 가장 많이 올랐고,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공장용지(0.21%), 주거용(0.18%)이 가장 많이 상승했다.

4월의 전체 토지 거래량은 23만2919필지, 1억7839만㎡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필지 수로는 13.1%, 면적 기준으로는 0.4% 각각 증가했다.

세종·전북·전남을 제외한 모든 시·도의 거래량(필지 수 기준)이 증가했고, 경기도(24.0%)를 포함한 수도권의 거래량(22.6%)이 지방의 거래량(8.6%)보다 증가 폭이 높았다.

건축물에 딸린 토지를 뺀 순수토지 거래량은 9만1439필지, 1억6646만8천㎡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필지 수 기준 6.3%, 면적 기준 0.1% 증가했다.

한편,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부산·제주 등 12개 시·도가 거래량이 증가한 반면 울산·세종·대구 등 5개 시·도는 감소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