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개포주공 사업시행인가 및 둔촌주공 건축심의 통과 직후 2~3일간 저가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기도 했으나 이번주에는 또다시 조용한 분위기로 돌아섰다.
개포주공과 둔촌주공 모두 지난주 반짝 상승 이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은마와 개포주공4단지 등이 일부 하락하면서 이번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시장은 다시 하락세(-0.02%)로 돌아섰다. 재건축이 아닌 일반아파트도 실입주 수요가 일부 움직임을 나타낸 관악 등을 제외하고는 약세를 보여 0.01% 하락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매매시장은 재건축, 일반아파트 모두 약세를 보여 10주 연속 하락했다(-0.01%). 신도시는 0.02% 내렸고 경기·인천은 8주간의 보합세가 무너지면서 0.01% 내렸다.
전세시장은 수요 감소에 따른 안정세가 계속되며 서울이 지난주에 이어 금주에도 보합세를 보였고 ▼신도시(-0.03%) ▼경기·인천(-0.01%)은 내림세를 유지했다.
◆ 매매
서울은 ▼노원(-0.09%) ▼강북(-0.04%) ▼동대문(-0.04%) ▼성동(-0.04%) ▼성북(-0.04%)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김포한강(-0.09%) ▼평촌(-0.06%) ▼동탄(-0.06%) ▼일산(-0.02%) ▼중동(-0.02%) ▼분당(-0.01%)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판교(0.01%)가 유일하게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은 ▼의왕(-0.13%) ▼김포(-0.05%) ▼용인(-0.03%) ▼광명(-0.02%) ▼부천(-0.01%) ▼수원(-0.01%)이 하락했으며 △양주(0.06%) △남양주(0.02%) △평택(0.01%) △안양(0.01%) △안산(0.01%)이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 전세
서울은 △은평(0.07%) △서초(0.07%) △마포(0.07%) △동작(0.07%) △서대문(0.06%) 등이 올랐다.
신도시는 △광교(0.04%) △동탄(0.02%)이 상승했으며 ▼산본(-0.17%) ▼판교(-0.07%) ▼중동(-0.05%)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은 △남양주(0.03%) △부천(0.02%) △인천(0.02%) 등이 상승했으며 ▼의왕(-0.12%) ▼김포(-0.09%) ▼안양(-0.09%) ▼시흥(-0.06%) 등은 하락했다.
개포주공, 둔촌주공의 재건축사업 진척으로 인해 서울 재건축 시장이 지난 주 반짝했으나 저가 급매물 위주로 일부 거래됐을 뿐 추격매수는 없었다. 2.26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 이후 굳어져버린 매수 관망세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이후 6월 국회에 상정될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의 처리 방향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매수심리의 향방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선진화 방안이 거래시장을 되살리는 방향으로 결정되더라도 7월부터는 계절적인 비수기에 들어가는 만큼 매수심리가 시장에 반영되는 시점은 늦어질 수 있다.
전국 아파트가격종합지수 '코아피(KOAPI)' 주간지표 - 2014.05.30/ 부동산114 제공
아파트가격종합지수 '코아피(KOAPI)'에 따르면 2014년 5월 30일 주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232.29 (2000년 1월초=100)으로 전주 대비 0.01포인트 내렸다. 재건축아파트의 지수는 337.52 로 전주보다 0.05포인트 하락했으나 재건축을 제외한 일반아파트 지수는 215.04로 보합을 유지했다. 전국 주상복합아파트 지수는 213.51로 전주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지수는 286.89으로 변동이 없었으며, 재건축 전세지수는 236.93으로 전주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일반아파트 지수 290.55(0.01p↑) △주상복합아파트 지수 242.74(0.01↑)는 지난 주보다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