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말 기준 해외건설 수주액이 전년 대비 35% 증가하며, 역대 2위를 차지했다.
해외건설협회는 5월 말 누계기준 해외건설 수주액이 316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234억 달러)에 견줘 35% 증가한 수준으로, 2010년 UAE 원전사업(186억 달러)을 제외하면 역대 최고치다.
올해 해외건설 실적 증가는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을 바탕으로 한 수주경쟁력 향상과 우리기업간 합작을 통한 시너지 효과, 정부의 수주지원단 파견 등으로 인한 신시장 개척 노력이 어우러져 결실을 맺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는 중동이 246억 달러로 전체 수주액의 78%를 차지했다. 쿠웨이트 클린 퓨얼 정유공장(71억5000달러),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60억4000달러) 등 대규모 플랜트 공사 수주에 힘입어 작년 동기(63억 달러)와 비교해 289%나 증가했다.
하지만 아시아는 49억 달러로 16%, 중남미는 12억 달러로 4%를 점유하는데 그쳤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베트남 빈탄4 석탄화력발전소(15억 달러)를 따냈으나 작년과 비교해 대형 플랜트·토목 공사 수주가 감소하며, 실적이 전년 동기(101억 달러)의 49% 수준에 머물렀다.
공종별로는 플랜트가 267억 달러로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이어 토목 27억 달러(8.4%), 건축 15억 달러(4.7%) 순이다. 중동 산유국의 대형 플랜트 발주가 지속됨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EPC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기업의 플랜트 수주 강세가 계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올해 해외건설 수주는 5월 말 현재까지 계약 실적, 향후 계약 예정, 입찰공사중 계약액 등을 감안할 때 2013년 652억 달러 대비 7.4% 늘어난 700억 달러의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올해 수주 목표 700억 달러 달성과 이를 뛰어 넘어 연간 수주 1000억 달러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