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대책 발표 이후 주택시장 기대심리가 하락세를 잇고 있다. 지방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시장의 하락폭이 커지면서 전체적으로 침체 분위기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이달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는 101.0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12.0포인트 내린 것으로 3개월 연속 하락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00.0으로 지난달보다 16.4포인트, 수도권은 88.4로 24.2포인트 떨어졌다. 수도권은 경기가 88.0(29.6포인트↓), 인천이 88.9(18.8포인트↓)를 기록해 하락세를 이끌며 올해 처음으로 '100선' 아래로 내려갔다.
HBSI는 기준값 100을 초과하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은 110.3으로 전달보다 0.7포인트 하락했지만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부산이 123.6(5.8포인트↑)으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전남 107.5(10.1포인트↑), 광주 115.9(5.9포인트↑)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세종 104.4(14.7포인트↓), 전북 100.0(5.4포인트↓) 등은 서울·수도권 다음으로 하락폭이 컸다.
분양 시장과 재건축 시장에 대한 기대감도 모두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실적지수는 108.0(17.0포인트↓), 분양계획지수는 104.0(12.8포인트↓)을 나타냈고, 미분양지수는 67.7로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달 올 들어 처음으로 '100선'이 무너졌던 재개발지수와 재건축지수는 이달에도 각각 6.8포인트와 1.7포인트가 빠지면서 81.1과 86.2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26대책이 시장 회복세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데다, 세월호 사건 이후 내수심리 위축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부족하고 엷어진 실수요를 확충·보완할 수 있는 수요 촉진 유도 방안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