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본격 장마시즌에 돌입한다. 기상청은 제주도는 예년보다 빨리, 서울 등 중부지방은 사나흘 정도 늦은 이달 말께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비보다 더위가 강한 마른장마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 국지성 호우가 잦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별로 풍수해 대비를 위한 안점점검을 강화하고 있지만 집집마다 살펴볼 수는 없는 만큼, 개별적으로 거주주택에 관심을 갖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팀장은 "장마철에는 조금만 신경을 써도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수구 청소=배수구는 평소 청소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흙이나 낙엽 등의 퇴적물과 각종 쓰레기로 막혀 있는 경우가 많다. 배수구가 막혀 배수가 잘되지 않으면 물이 차거나 역류할 수 있는 만큼, 미리 살펴보고 깨끗이 청소를 해야 한다. 특히 저지대나 반지하주택은 침수가 자주 발생하므로 배수설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하수구 역류방지 장치 설치=지하 주택의 하수구 역류로 인한 침수 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수구 역류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많은 지자체에서 무상으로 설치해 주고 있어 과거 침수피해를 입었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주택 거주자는 지자체에 연락해서 무상 설치가 가능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축대와 담장 보수=축대와 담장은 호우로 무너지게 되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꼭 점검을 해야 한다. 균열이나 지반침하 등의 위험이 없는지 살피고 균열이 생긴 부분은 시멘트 등으로 보수하도록 하자. 지지대를 받쳐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전기시설물 점검=노후된 주택은 전기시설물에 빗물이 스며들어 누전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붕 등에서 빗물이 새는지 확인하고 낡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곳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전기배선 등 전기시설물에 이상이 있으면 스스로 해결하기 보다는 전문가에게 맡겨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발코니 등 외벽 방수 처리=아파트 발코니 외벽에 균열이 생겨 빗물이 스며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래층 천정으로 누수가 발생해 이웃간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발코니 외벽 누수 방지를 위해서는 실리콘과 방수액 등으로 방수 처리를 해야 한다. 다만, 작업 과정이 상당히 위험하므로 반드시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전염병 예방=장마철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곰팡이와 각종 세균이 왕성하게 번식해 장마가 끝난 뒤에도 전염병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곰팡이와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환기를 자주 시켜 습기를 제거하고 일시적으로 난방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집 안팎 오염 물질이 있었던 곳 등에는 소독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