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인중개사 10명 중 7명은 전세시장 안정을 위해 가장 적절한 정책으로 '매매시장 활성화'를 꼽았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최근 자사 회원 중개업소 공인중개사 627명을 대상으로 '전세시장 안정을 위해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정책'을 물어본 결과, 74.6%에 해당하는 468명이 '매매시장 활성화로 수요 분산'을 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어 ▲임대주택 공급 확대 15.0%(94명) ▲전세자금대출 금리 인하 및 자격요건 완화 5.3%(33명) ▲전월세 상한제 실시 및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5.1%(32명) 순이었다.
'하반기 전세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보합'이 52.8%(331명), '상승'이 41.9%(263명)로 현재 가격 수준과 비슷하거나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반면 '하락'은 5.3%(33명)에 불과했다.
'하반기에 전세가격이 상승한다면 가장 큰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전세의 월세전환으로 인한 물건 부족'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36.4%(228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집을 꼭 사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 변화로 전세수요 증가 31.4%(197명) ▲집값 하락 우려로 전세 선호 ▲주택 구매 여력 부족으로 전세 선택 11.6%(73명) 순으로 파악됐다.
반대로 '하반기에 전세가격이 하락한다면 가장 큰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하반기 입주 물량 증가'가 28.2%(177명)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어 ▲집값 상승 기대로 전세 수요가 매매로 전환 27.8%(174명) ▲오랜 기간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피로감 26.6%(167명) ▲월세 소득 과세로 월세를 전세로 전환하는 물량 증가 17.4%(109명) 등의 응답이 나타났다.
'현 시점에서 매매와 전세로 갈등하고 있는 실수요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것'을 묻는 질문에는 '매매'를 선택한 공인중개사가 84.5%(530명)로 '전세'를 추천한 15.5%(97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매매를를 권한 이유로는 전세가와 크지 않은 가격차, 주거 안정, 매매가 상승 기대감, 전세가 추가 상승 우려 등을 꼽았다. 반면 전세를 추천하는 이유로는 매매가 하락 우려, 입주 물량 증가 등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세계 유일의 국내 전세제도 유지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43.2%(271명)가 '앞으로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10년 안에 사라질 것 28.9%(181명) ▲10~30년 내 사라질 것 27.9%(175명) 등 장기적으로 전세제도가 없어질 것으로 내다보는 공인중개사가 절반을 넘었다.
한편, 이번 설문의 총 응답자는 627명(수도권 392명, 지방 235명)이며, 조사 기간은 6월 23일~6월 27일까지다.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 ±0.59%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