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이슈진단]건설업계 또 위기설?…벽산 이어 성원건설 파산 신청 '산 넘어 산'



분양시장 호조세로 잠시 주춤했던 건설업계 위기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4월 벽산건설에 이어 지난달 성원건설까지 파산 신청을 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다.

업계에서는 성원건설이 2010년 법정관리에 들어간 이후 별다른 영업활동이 없었고 매각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만큼, 파산은 당연한 수순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하지만 파산 행렬이 성원건설에서 멈추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견·중소건설사 매각 번번이 실패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남광토건은 지난달 26일 M&A 본입찰을 실시했지만 입찰자가 없어 유찰됐다. 이로써 2012년 12월 법정관리 돌입한 이래 시도한 여섯 번의 주인 찾기 모두 수포로 돌아갔다.

현재 매물로 나와 있는 동양건설산업과 LIG건설도 마찬가지다. 동양건설산업은 지난해 노웨이트 컨소시엄의 인수 작업이 무산된 이후 두 차례에 걸쳐 M&A를 재추진했지만 인수자를 찾지 못했다. LIG건설도 지난해와 올해 초 두 번에 걸쳐 매각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처럼 건설업체들의 새 주인 찾기가 번번이 무산되는 데는 영업환경 악화와 실적 부진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공공은 물론, 민간에서의 신규공사 수주가 어려워진다. 일감 확보가 막히다보니 자연스럽게 실적도 부진해지는 것이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128개 상장 건설기업의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자기자본과 총자산은 감소하는 등 외형이 축소됐다. 특히 이자보상비율은 78.4%에 불과했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면 번 돈으로 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업황이 좋을 때야 대기업뿐 아니라 중견기업들도 건설시장에 뛰어 들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지 않냐"며 "돈 벌기는커녕 오히려 까먹고 있는 회사를 투기자본이 아닌 이상 어느 정상적인 기업이 인수하겠냐"고 귀띔했다.

◆그룹 계열, 대형건설사도 사정 비슷해

대형건설사들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6월 대형건설사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는 전월 대비 0.6포인트 내린 92.3이다. 낙폭은 크지 않지만 올해 첫 하락 전환이라는 점에서 이들도 체감경기를 마냥 좋게만 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올 초 대우건설을 시작으로 롯데건설, KCC건설, 동부건설의 그룹계열 건설사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떨어졌다. 가장 최근에는 두산건설 장기신용등급이 BBB+에서 BBB로, 단기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내려갔다.

나이스신용평가사는 "두산건설이 작년 두 차례의 유상증자 및 HRSG양수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에도 불구하고 영업수익성 개선 정도가 제한적이고, 순차입금 규모가 2013년 조정 EBIT 대비 21.5배에 달하는 과다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흐름은 대형건설사들의 유상증자가 부쩍 증가한 데서도 읽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업들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상증자 대신 회사채나 CP를 발행해 유동성을 확보한다. 하지만 신용등급 악화로 회사채 등의 발행이 막히면서 유상증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지난달 25일 한화건설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4000억원 규모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결정했고, GS건설(5520억원), SK건설(1750억원) KCC건설 (1088억원) 등도 큰 규모의 유상증자를 마쳤다.

◆자구 노력 및 신사업 발굴해야

건설업계에서는 더 이상 시장이 악화되지 않더라도 특별한 모멘텀 없이 회복되기도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대차그룹 산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최근 발표한 '글로벌 건설업체의 성장전략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벌 건설기업들이 시장 침체와 경쟁 심화로 위기를 겪었지만 신속한 사업구조 개편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조언했다.

또 시사점을 얻을 만한 글로벌 업체들의 성장 전략으로 ▲운영사업과 밸류체인(가치사슬) 사업 강화 ▲성장시장의 현지 업체 입수합병(M&A) ▲첨단기술사업으로 특화 등을 꼽았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주택·건설시장에 가해진 과도한 규제를 정비하되, 건설사 스스로도 내실경영에 힘쓰고 신사업·신시장에 진출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견사들의 경우 특화상품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