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면서 투자자들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얼마의 '차익'을 거뒀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지금은 보유하는 과정에서 얼마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지로 관심이 이동한 것이다.
이는 곧 소유권에 대한 개념 변화로 연결되고 있다. 부동산을 사고 팔 때는 반드시 투자자 본인이 소유권을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운영수익이 주가 된다면 명의는 누구여도 상관이 없다.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명의를 맡기냐의 문제만 남을 뿐이다.
강준 지지자산운용 본부장은 "부동산시장 변화와 투자자들의 니즈가 반영된 상품이 바로 부동산펀드"라며 "절차에 의해 설립된 운용사가 금융당국의 관리를 받아 투자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믿을 만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에 비해 대중화가 덜 된 탓에 '부동산펀드'라는 명칭만 들어봤을 뿐 정확한 내용을 아는 투자자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강준 본부장은 "부동산펀드란 주식·채권 대신 말 그대로 부동산에 다수의 사람들이 돈을 모아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며 "운용사마다 취급하는 상품은 다르지만 개인의 접근이 쉽지 않은 100~200억원대 중대형 상가·빌딩 등이 대상이 되곤 한다"고 말했다.
이때 부동산펀드라고 해서 개인들은 모르는 특별한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경·공매, NPL, 중개업소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목표 수익률에 적합한 물건을 취합한 뒤 운용사가 정한 기준에 맞는 물건을 선별하는 방식이다.
강 본부장은 "부동산의 기본은 발품인 만큼, 개인이 물건을 찾는 것과 큰 차이는 없다"며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상품을 개발하고 운영한다는 점에서 '저위험 중수익'을 노려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시장에서는 수익률은 보다 높이면서 리스크는 보다 낮추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휴지조각으로 전락하는 주식·채권 등과는 달리, 물건은 남는 부동산의 특성상 부동산펀드는 저위험으로 중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강준 본부장은 "부동산펀드는 대부분 사모펀드라 광고를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출시 여부조차 모르곤 한다"며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자산운용사 또는 증권사 등에 사전에 펀드가 출시되면 안내를 해달라고 말해두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펀드를 가입할 때는 상권, 우량 임차인, 매각 환금성 등을 따져보고 해당 운용사가 기존에 취급했던 펀드들의 수익률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