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규모 적자를 냈던 삼성엔지니어링이 올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매출액은 10% 이상 감소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4조4140억원 ▲영업이익 1077억원 ▲순이익 492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공시했다. 작년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은 14.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흑자로 전환됐다.
2분기 실적만 보면 ▲매출 2조1977억원 ▲영업이익 771억원 ▲순이익 241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3% 줄었든 반면, 영업이익은 작년 4분기를 시작으로 3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게 됐다.
상반기 수주실적은 5조23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8% 증가했다. 쿠웨이트 KNPC 클린퓨얼, 이라크 ENI 주바이르 유전개발, 알제리 티미문 가스전 개발, 칠레 BHP 켈라 발전 등 해외 수주의 영향이 컸다.
상품별로는 정유·가스·업스트림 등 화공 분야가 약 70%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중동(56%)과 아프리카(16%), 중남미(9%) 등의 비중이 높았다. 2분기 기준 수주잔고는 16조425억원으로 2013년 말 기준 15조6355억원보다 2.6%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프로젝트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에 집중한 결과 완만한 경영 회복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한편, 2014년 연간 실적 전망은 지속적인 환율 하락에 따른 환 리스크 등을 반영하고 현안 프로젝트 마무리에 집중하고자 수주목표는 당초 9조원에서 8조원으로, 영업이익은 2500억원에서 1700억원으로 하향조정했다. 매출은 연초 제시했던 8.5조원을 유지할 계획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하반기에도 수익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경영안정화를 위한 내실경영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익률 제고를 위해 보수적인 수주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적용하는 한편,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와 손익 개선에 집중할 예정이다.
또 근본적 체질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혁신 시스템 구축도 본격 가시화될 전망이며, LNG 액화부문과 FEED(Front-End Engineering Design, 기본설계) 등 고부가가치 신성장 동력도 지속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