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 2분기 시내 반전세(보증부 월세) 주택의 평균 전월세전환율이 연 7.3%로 지난 1분기(7.7%)보다 소폭 하락했다고 29일 밝혔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계약이 끝나고 재계약하는 경우 전세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이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정하는 상한선은 연 10%다.
각 구별 전월세전환율은 중구가 8.6%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가 6.5%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도심권(종로·용산·중구)이 8.1%, 동남권(서초·송파·강남·강동)이 6.7%를 나타냈다.
또 모든 권역에서 단독·다가구주택, 다세대·연립주택, 아파트 순으로 전월세전환율이 높았다.
권역별 주택유형으로 살펴보면 도심권 단독·다가구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8.5%로 최고를 기록했고, 동남권 아파트가 6.2%로 최저를 가리켰다.
전세보증금별로는 보증금 1억원 이하 주택의 평균 전월세전환율이 8.3%로 1억원 이상 주택보다 약 2%포인트 높았다. 더 적은 전세보증금을 주고 사는 세입자일수록 월세로 전환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금액으로 전환하는 셈이다.
서울시는 전월세전환율 공개 1년차를 맞아 지난 1년간 평균 전월세전환율도 공개했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평균 전월세전환율은 7.3%이며, 전세에서 반전세로 전환한 사례는 모두 1만9977건이었다. 이 기간 월세 거래는 월평균 1만7000여건 수준이었다.
권역별로는 서남권 5581건, 동북권 5286건, 동남권 4931건, 서북권 2898건, 도심권 1281건으로 서남권과 동북권에서 월세 전환이 가장 빈번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전월세전환율 공개는 시장을 잘 몰라 자칫 과도한 비용을 물고 월세 계약하는 것을 방지하고 향후 재계약 때도 적정 수준을 참고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라며 "더 세분화된 지표를 계속 공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