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30평형인 듯 20평형인 '틈새아파트' 눈길

분양가는 20평형대, 공간 활용도는 30평형대

수요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한 신평면 출시가 잇따르는 가운데 기존 정형화된 소형과 중형이 아닌 틈새상품이 잇달아 공급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소형아파트라 하면 전용면적 59㎡(25평형)와 84㎡(33평형)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소형과 중형 사이인 69㎡, 72㎡, 75㎡(26~29평형) 등으로 세분화돼 보다 다양한 평면이 개발되고 있다.

3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산업개발은 8월 분양 예정인 '수원 아이파크시티 4차'에 전체 1596가구 중 30% 수준인 427가구를 전용면적 75㎡로 설계했다. 앞서 공급된 3차에서 75㎡ 틈새평면이 큰 인기를 끌었다는 점을 감안, 당시 272가구보다 물량을 57%가량 늘렸다.

롯데건설이 같은 달 경남 양산시에서 분양하는 '양산 롯데캐슬' 역시 73㎡가 3개 타입에 걸쳐 277가구 포함된다. 전체 623가구의 40%가 넘는 물량이다. 또 이지건설이 경기도 평택에서 선보일 '평택청북지구 이지더원'은 513가구 전체가 75~76㎡로 구성됐다.

이외에도 대우건설이 '동탄2신도시 푸르지오', 한라가 '배곧신도시 한라비발디', 효성이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태전' 등의 아파트를 공급하면서 각각 74㎡, 70㎡, 71㎡의 틈새평면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처럼 신규공급 단지를 중심으로 틈새평면이 증가하는 데는 20평형대의 저렴한 분양가로 30평형대의 공간 활용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건설사들이 확장평면 개발에 열을 올리면서 최근 2~3년 사이 전용면적의 절반에 맞먹는 서비스면적을 제공하는 단지들이 늘고 있다.

70㎡ 크기의 아파트라도 확장만 하면 30평대 후반과 맞먹는 최대 105㎡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그러면서도 분양가는 20평대 수준으로 저렴하게 책정되다 보니 틈새평면을 선호하는 수요자들도 자연스럽게 늘게 된 것이다.

김근옥 부동산플래너 팀장은 "설계기술의 발달로 좁은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나타난 말 그대로 틈새인 평면"이라며 "실속형 수요자들이 늘고 있는 만큼 틈새평면의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