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연립주택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6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은 전달보다 0.3%포인트 올라 60.0%를 기록했다.
수도권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2011년 6월 53.5%로 시작해 조사 표본 개편으로 2013년 4월 한번 하락한 것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했으며, 지난달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인천으로 62.7%를 기록했다. 인천은 이미 작년 9월 60.2%로 수도권에서 가장 먼저 60%를 돌파한 바 있다.
또 인천보다 한 달 뒤에 60%선을 넘은 서울은 62.0%로 조사됐고, 경기는 56.1%로 60%를 밑돌았다.
서울에서는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한강 이북 지역의 전세가율이 62.5%로 한강 이남(61.5%)보다 높았다.
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이 이처럼 높게 형성된 데는 전세가격은 계속해서 오르는데 반해, 매매가격은 전세가보다 덜 오르거나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수도권 연립주택의 평균 매매가격은 1억7499만원, 전세가격은 1억830만원을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매매가가 0.1%(15만원) 올라 제자리 수준에 머문 사이 전셋값은 6.2%(636만원)나 뛰었다.
같은 기간 서울은 한강 이남과 이북 지역 매매가가 2억5496만원, 2억1014만원으로 각각 1.0%(249만원), -1.1%(-233만원)의 변동률을 보였다. 그러나 전세가는 1억5542만원과 1억2957만원으로 7.2%(1051만원), 5.4%(660만원) 상승했다.
경기지역 역시 매매가격이 1억3701만원으로 작년보다 0.6%(83만원) 상승한 사이 전셋값은 8634만원으로 6.1%(511만원)나 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