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상가가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기를 끌면서 경매시장에서의 상업시설 낙찰가율이 2001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0일 법원경매전문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상업시설의 낙찰가율은 평균 64.2%로 이 업체가 경매 정보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1년 이래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7월 기준으로 상업시설의 낙찰가율은 2003년 최고 63.7%까지 올랐으나 이후 2005년 52.1%, 2009년 51.6%, 2011년 57.8% 등 50%대로 떨어졌다. 그러다 2013년 61.2%로 다시 60%를 넘기고 올해 들어 역대 가장 높은 64.2%로 올라섰다.
반면, 경매에 부쳐진 상가 물건수(1~7월 기준)는 올 들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외환위기 직후인 2001년 가장 많은 3만7946건이 경매에 들어갔으나 이후 2005년 3만3280건, 2009년 3만240건, 2012년 1만9214건, 2012년 1만5492건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올해 1만3145건을 기록했다.
경매 물건이 감소하면서 입찰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올해 상업시설 물건당 평균 응찰자 수는 평균 2.9명으로 2001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달 22일 입찰에 부쳐진 은평구 대조동의 한 근린상가는 무려 53명이 몰리면서 감정가 19억4000여만원을 훌쩍 뛰어넘어 29억3900만원에 낙찰됐다.
앞서 지난 6월 법원 경매장에 나온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의 한 아파트 상가는 31명의 경쟁 끝에 감정가 2억7000만원의 2배가 넘는 5억166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이 같은 현상은 주택 월세 물량 증가로 임대소득이 감소한 데다, 주택 임대소득 과세 내용을 담은 2·26대책까지 발표되면서 주택을 대신해 상가로 투자대상을 전환한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구분등기된 소형 상가 점포의 낙찰가율은 72.7%로 가장 높았고 아파트형 공장 내 상가 72.4%, 아파트 단지 내 상가 69.7%, 근린상가 69.4%로 뒤를 이었다.
반면 공급과잉 우려가 이는 오피스텔 내 상가(62.9%)나 대형 쇼핑몰(58.8%), 시장(50%), 주상복합상가(49.6%) 등의 낙찰가율은 평균 이하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