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형보다 중대형 아파트의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면서 둘 간 격차가 2006년 이후 처음으로 벌어졌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8월 1주 기준 서울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3.3㎡당 전세가는 938만원, 초과 중대형 아파트는 1040만원으로 102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중소형과 중대형 아파트의 전세가는 2006년 154만원까지 벌어졌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 작년 85만원까지 좁혀졌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중소형 3.3㎡당 전세가가 331만원 오른 사이 중대형은 262만원 상승에 그치면서 간격이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올 들어 중대형(3.3㎡당 119만원)이 중소형(3.3㎡당 102만원)보다 전세가 오름폭이 더 커지면서 8년 만에 격차가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강남구를 비롯해 강동구, 강북구, 관악구, 금천구, 노원구, 서대문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종로구 등 총 11곳에서 중대형 전셋값 상승폭이 중소형보다 컸다.
종로구는 중소형이 3.3㎡당 100만원 오를 때 중대형은 140만원 뛰었고, 영등포구도 각각 78만원, 110만원으로 중대형이 32만원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양천구 역시 중소형 전세가는 98만원, 중대형은 126만원의 상승을 기록했다.
대형·고가 아파트가 집중된 강남구도 타워팰리스, 역삼아이파크 등에서 전세가가 오르면서 3.3㎡당 중소형 전세가가 140만원, 중대형은 158만원으로 중대형이 18만 원 더 상승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계속된 전세난으로 중소형의 전세가 부담이 높아진데다, 전세물건 품귀로 계약도 어려워지면서 그동안 덜 오른 중대형 아파트로 이동하는 세입자들이 늘고 있다"며 "중소형과 중대형의 3.3㎡당 전세가 격차는 당분간 계속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