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를 맞아 고향과 가족을 찾는 민족의 대이동이 예고된 가운데, 빈집털이가 기승을 부릴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실제, 설·추석 등의 연휴에는 평소보다 20%가량 빈집털이를 포함한 절도범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절도범들이 유리창을 깨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필름, 배관을 통한 침입을 막는 철제 가시덮개 등 방범장치들이 인기다. 최근에는 입주민이 따로 범죄 걱정을 할 필요 없는 방범아파트의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단지 내 범죄에 따른 입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각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안전한 아파트가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대우건설은 경남 창원 용원택지지구에 공급하는 '창원 마린 2차 푸르지오'에 세대 현관 앞에 사람이 일정거리 접근하면 자동으로 촬영해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 차량 및 얼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200만 화소급의 CCTV도 단지 내 설치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단지 내 일반아파트보다 4배가량 선명한 화질의 CCTV 설치는 기본이고, 첨단보안시스템을 통해 이중으로 관리할 예정"이라며 "보안 기능에 생활편의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해 입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고 말했다.
포스코건설은 경북 경산시 중산지구 C3블록에 위치한 '펜타힐즈 더샵'에 통합 보안시스템인 '더샵 지키미'를 적용한다. 아파트 단지 출입구부터 세대 출입구까지의 공간을 3단계로 구분해 각 영역별 체계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이 서울 서초구 서초우성3차를 재건축한 '래미안 서초'는 현관문에 적용되는 시큐리티 도어록으로 보안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또 문밖에 수상한 사람이 1분 이상 있을 시 경고음을 발생하며 영상을 녹화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또 이 회사가 영등포구 신길뉴타운7구역을 재개발한 '래미안 에스티움'에는 영상녹화 기능이 추가된 25.4㎝(10인치) 스마트매니저 홈오토메이션시스템(HAS)이 설치된다. 각 세대 내 침입자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 시 자동으로 거실 조명이 켜지고 영상이 녹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