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9월 한 달간 주택 매매거래가 작년 9월보다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이 8만6186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1.9% 증가했으며, 1∼9월 누계 기준으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6% 늘어난 70만9600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9월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 4월의 9만2691건 이후 최대치로 9·1대책 이후 주택시장 활력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해 7∼9월은 4·1 대책으로 활성화됐던 부동산 경기가 소강 국면을 보이면서 거래가 뜸했던 때라 그에 따른 기저효과로 거래량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지방보다는 수도권이 더 늘었으며, 그중에서도 서울 강남 3구의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수도권의 거래량은 작년 9월보다 59.5% 늘었고 지방은 45.2% 증가했다.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은 72.0%(1만3946건) 증가했으며 , 강남3구는 141.0% 늘어난 2273건을 기록했다.
주택 유형별 거래량은 작년 9월보다 아파트의 경우 55.6%, 연립·다세대주택은 39.4%, 단독·다가구주택은 48.0%가 각각 증가했다.
수도권에서도 아파트는 63.3%, 연립·다세대는 47.1%, 단독·다가구는 60.1%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계약일자 기준)은 수도권 및 지방 모두 강보합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강남 대치 은마아파트 76.79㎡는 8월 8억7500만원에서 9월 8억9500만원으로, 강남 개포 주공아파트 41.98㎡는 8월 7억700만원에서 9월 7억2000만원, 송파 가락 시영1 40.09㎡는 8월 5억1000만원에서 9월 5억3000만원으로 소폭 올랐다.
또 경기 분당 구미 무지개(청구)아파트 58.49㎡는 8월 3억원에서 9월 3억3000만원으로, 부산 해운대 우동 동부올림픽아파트 84.96㎡는 8월 3억2500만원에서 9월 3억300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