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박수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충남 공주시)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자회사인 ㈜워터웨이 플러스에 대해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비에만 의존하는 유명무실한 공기업 자회사이자 또 하나의 '수피아'"라며 "그 존립여부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워터웨이 플러스는 지난 2011년 4월 아라뱃길 마리나 운영, 물류지원센터 운영, 강문화관 운영·관리 등을 위해 한국수자원공사가 100% 출자해 설립한 자회사다.박 의원은 "워터웨이 플러스는 설립 이후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업무 이외에 자체 사업이 거의 전무할 뿐만 아니라 수자원공사 퇴직자들의 자리보전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의계약방식으로 계약이 이루어지고 있어 경영의 투명성 마저 의심스럽다."고 질타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워터웨이 플러스는 2013년 전체 수입 89억6200만원 중 95.1%인 85억2900만원이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비인 반면 자체 수입은 적자운영중인 마리나 요트계류비와 자전거 임대수입 등 4억3300만원에 불과했다.
올해 상반기도 32억1900만원의 수입 중 자체수입은 2억2500만원에 불과하고 29억9600만원이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비였다. 사실상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업무가 없으면 존립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명박 정부가 아라뱃길 경제성의 상징으로 내세웠던 물류이동은 지난 해 1척, 177톤에 불과했으며, 올 해는 물류이동이 전무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물류이동을 지원한다고 설치했던 워터웨이 플러스의 물류지원센터가 문을 닫은 상태다.
박 의원은 워터웨이 플러스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수자원공사와 업무가 중복될 뿐만 아니라 조직운용이 기형적인 것에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워터웨이 플러스의 조직구성이 수자원공사 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의 산하 조직인 아라뱃길 운영처와 매우 흡사하고 사업내용도 거의 동일해 불필요한 중복조직으로 존재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워터웨이 플러스에 근무중인 임직원 36명 중 5급 이상이 33명으로 전형적인 '역피라미드' 구조로 업무효율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기관장을 비롯한 고위층 5명이 수자원공사 출신으로 결국 수자원공사 퇴직자들의 자리보전용 자회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의원은 "올해 상반기 성과급으로 모든 임직원에게 최고 1616만원에서 최저 465만원씩 총 2억54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또 다른 수피아'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질타했다.
뿐만 아니라 박 의원은 워터웨이 플러스는 2011년 설립 이후 1000만 원 이상 총 58건의 용역입찰 중 일반경쟁입찰은 단 1건에 불과하고 제한입찰을 포함해도 고작 3건에 그치는 반면 나머지 55건이 수의계약으로 이루어져 경영의 투명성마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박수현 의원은 "수십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는 수자원공사의 위탁관리비로 연명하고 있는 워터웨이 플러스가'돈 먹는 하마'로 전락했고, 수공 출신 퇴직자의 자리보전용 자회사임이 드러난 이상 존립 여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국민의 혈세를 더 이상 낭비하지 않기 위해 정부와 수자원공사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워터웨이 플러스의 예산은 101억이며, 이중 아라뱃길 환경미화와 조경·수목관리에 37억 2500만원, 4대강문화관 운영에 33억6400만원 기타 관광레저 11억1400만원, 마리나와 자전거 사업 등에 17억8800만원이 책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