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의 오피스텔시장의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상주인구 16만 명을 갖춘 첨단도시로의 개발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앞 다퉈 공급한 오피스텔이 과잉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온 것이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에 따른 쏠림현상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마곡지구에서 오피스텔을 분양한 시공능력 10위권 내 대형건설사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이다. 이들 4개 건설사가 공급한 물량은 총 7개 단지, 5000여 실 규모다. 모두 90% 이상의 높은 계약률을 보이고 있다.
마곡지구는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소형 오피스텔 위주로 공급됐다. 그러다 지난해 6월 현대엠코(현 현대엔지니어링)가 '마곡 엠코 지니어스타'를 분양해 2개월 만에 완판했고, 이어 현대건설이 '마곡 힐스테이트 에코'를 5일 만에 팔아치우며 브랜드 오피스텔 열풍을 일으켰다.
올 4월 대우건설이 공급한 '마곡역 센트럴 푸르지오시티' 역시 총 510실 가운데 10여 가구만 주인을 찾지 못했고, 특히 B4블록 일대에서 지난달부터 분양에 들어간 3개 단지는 한 달도 안 돼 100% 계약을 앞두고 있다.
먼저 손님을 맞은 B4-2블록 '마곡나루역 캐슬파크'가 100% 계약을 완료했으며, B4-3블록 '마곡나루역 보타닉 푸르지오시티'는 1군 원룸타입 일부만 남아 있다. 지난달 29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한 '힐스테이트 에코 마곡나루역'도 현재까지 90% 이상 계약됐다.
이에 반해, 비슷한 시기 공급된 S, P, D 등의 소형 오피스텔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양대행사 관계자는 "계약률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미 분양이 완료된 소형 오피스텔 중에서도 일부는 1000만원 정도의 마이너스 프리미엄까지 붙었다"고 귀띔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해까지는 마곡지구 개발호재에 힘입어 분양만 하면 어느 단지나 다 팔렸지만 물량이 과잉되면서 올 초부터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됐다"며 "투자자들이 브랜드 오피스텔이 시공, 유지·보수, 임차 관리 등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모든 브랜드 오피스텔이 좋은 은 아니라고 조언한다. 입지와 분양가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대형 오피스텔은 나홀로 소형 단지보다 못하다는 지적이다.
장경철 부동산센터 이사는 "마곡지구의 경우 브랜드 오피스텔이 입지가 좋고 분양가도 적정하게 책정돼 경쟁력이 있었던 것"이라며 "대형건설사가 지었더라도 수요자가 없는 곳에 비싼 가격으로 공급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면 투자는 기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