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숲 SK뷰 모델하우스를 찾은 고객이 분양상담을 받고 있다.
날로 심각해지는 전세난에 미분양 아파트가 때 아닌 전성기를 맞고 있다. 끝없이 오르는 전세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데다, 비싼 전세마저 품귀 현상으로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세입자들이 혜택 좋은 미분양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5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10월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69.4%에 이른다. 수도권에서는 경기지역이 68.0%로 가장 높고, 인천과 서울도 각각 65.3%와 64.9%로 집계됐다.
이는 진작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선 지방보다는 낮은 수치지만 지방이 2년간 3.1%포인트 오른 사이 수도권은 10.6~11.3%포인트나 뛰었다. 재계약을 앞두고 세입자들이 받을 충격은 수도권이 훨씬 큰 셈이다.
이에 반해 올 3분기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3만9168가구로 이전 분기보다 1만1000가구나 줄었다. 특히 수도권에서만 90%가 넘는 1만200가구가 감소하며, 미분양 소진률이 빨라지고 있다.
SK건설이 서울 노원구에 지난 6월 분양한 '꿈의숲 SK뷰'만 보더라도 전용면적 59㎡ 소형은 다 팔리고, 현재 84㎡ 일부만 남아 있을 뿐이다. 현장 관계자는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저렴한 3.3㎡당 1300만원대부터 시작해 노원구 일대 수요자들의 문의가 많다"며 "9월 이후에만 그 이전보다 4배 이상 계약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배후 지역인 경기·인천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더욱 뚜렷하다. 대우건설이 경기도 고양시에 선보인 '일산 푸르지오'는 9·1대책과 가을 이사철이 겹치면서 10월 분양을 마감했다.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후 미분양이었지만 바로 입주할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부각됐다.
요진건설산업이 고양에서 분양 중인 '일산 요진 와이시티' 아파트도 9월 120건의 계약이 성사된 데 이어, 10월에도 매주 30가구가량 팔리고 있다. 또 인천 청라국제도시에서 포스코건설이 공급한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는 한 달 10개씩 팔리던 데서 현재는 40개 넘게 판매되고 있고, 송도국제도시에서 호반건설이 분양한 '호반베르디움'은 10월 말 완판됐다.
강남의 대형아파트도 예외는 아니다. 대우건설이 서울 잠실에 지은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는 3.3㎡당 2000만원대 초반으로 수요층이 한정돼 있음에도 가을 들어 미분양이 속속 소진되고 있다. 8월까지 한 달에 2~3건 계약됐지만 9월 이후 8건이 팔려나갔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팀장은 "수도권에서 소진된 미분양 아파트 모두를 세입자들이 샀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연관관계가 있는 것은 확실하다"며 "미분양의 경우 분양가 할인, 계약조건 완화 등을 활용해 기존 아파트보다 비교적 저렴하게 매입할 수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