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이수건설이 경기도 평택에 공급한 '브라운스톤 험프리스'는 1·2순위 청약경쟁률이 0.14대 1에 그쳤지만 계약 한 달여 만에 85%의 판매율을 올렸다.
뒤늦게 실수요자들이 동·호수 선착순 계약에 나선 것도 있지만 지난달 삼성전자가 평택 고덕산업단지에 15조6000억원을 투자해 당초 계획보다 1년 앞당긴 2017년 하반기까지 최첨단 반도체라인을 건설하겠다고 밝히면서 투자자들이 움직인 영향이 컸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시장의 '삼성앓이'가 계속되고 있다. 삼성만 따라가면 돈이 보인다는 업계의 속설 때문이다. 삼성벨트에 들어선 기존 아파트는 물론, 신규분양 단지들도 인기를 끌면서 분양을 앞둔 건설사마다 삼성 임직원을 잡기 위한 마케팅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평택에 앞서 삼성벨트가 형성된 수원과 용인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수원은 삼성전자 본사가 , 화성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와 삼성 모바일 부품연구소 등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상당수가 직장과 가까운 수원과 용인, 화성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에 현대건설은 수원 망포동에서 '힐스테이트 영통'을 공급하면서 삼성 직원들의 쵤·퇴근 시간에 맞춰 가두홍보를 진행했다. 또 현대엔지니어링은 용인 서천지구 '힐스테이트 서천' 분양 전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홍보전단과 함께 노트 1만부를 배포했다.
덕분에 '힐스테이트 영통'은 평균 1.76대 1로, '힐스테이트 서천'은 1.87대 1로 순위 내 마감에 성공했다.
삼성물산이 서울 서초동에서 공급한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는 서초 삼성타운에서 도보 5분이 채 걸리지 않는 직주근접 아파트라는 점에서 자연스럽게 삼성 직원들의 관심을 받았다. 그 결과 1순위에서 71대 1, 최고 19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무난한 계약을 진행했다.
분양대행사 관계자는 "평택이 개발호재로 움직인 시장이라면 수원·화성·서초 등 이미 삼성타운이 형성된 지역은 직접적으로 임직원을 겨냥해 분양률을 끌어올리는 경우"라며 "일반 수요자에게는 기대감을, 삼성 직원들에게는 직주근접을 강조한다"고 설명했다.
삼성 임직원만 잡으면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분양하는 단지마다 이들에게 눈도장을 찍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대림산업이 화성시 반월동에 선보일 'e편한세상 화성'은 단지 남측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걸어서 출·퇴근할 수 있다는 입지적 장점을 활용해 게릴라성 '힐링 이벤트'를 진행했다.
총 2500명의 삼성 직원들에게 오렌지, 포춘쿠키, 자양강장제와 함께 홍보전단이 들어있는 힐링패키지를 전달해 단지를 알리는데 주력했다. 또 아침에 출근하는 삼성 임직원들에게 이동식 카페에서 커피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마련하기도 했다.
대림산업 측은 "입지적으로 삼성 임직원 수요가 많아 이번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사업지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견본주택을 방문해 상담하겠다는 관심고객도 늘었다"고 말했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수원 광교신도시 '힐스테이트 광교' 분양을 앞두고 '무빙카페'를 운영 중이다. 인근 삼성디지털시티 직원 동선에 맞춰 출·퇴근과 점심 시간에 커피 등의 음료를 나눠주며 홍보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