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세를 타던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꺾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2일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소속 회원사 500여곳을 대상으로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보다 41.3포인트 하락한 116.3으로 집계돼 4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HBSI는 기준값 100을 넘으면 향후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경기가 나빠질 것이란 답변이 많다는 의미다.
HBSI 11월 전망치는 서울이 122.4(44.3포인트↓), 수도권이 124.0(29.2포인트↓), 지방은 114.5(3.2포인트↓)로 집계되어 서울지역 하락세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HBSI 전망치는 9·1 대책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의 영향으로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서울·수도권 중심으로 상승세가 꺽이며 전국적으로 하락했다. 11월은 분양실적지수만이 전월대비 4.4p 상승한 127.9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분양계획지수는 120.4로 전월대비 -16.2p 하락했다.
9·1대책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주택시장이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치면서 주택가격 상승폭은 줄어들고 전세가율 상승세는 지속됐다. 분양시장 역시 지역별로 차별화되어 신규시장이 재고시장까지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으로 이달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분양 지수는 지난달 37.4로 최저치를 기록했다가 이달 12.6포인트 상승했다.
재건축 지수와 재개발 지수도 107.1, 102.0으로 각각 2.3p, 2.7p 하락했다.
11월 지역주택 시장의 사업환경지수는 충북 127.3(8.2p↑), 전북 107.4(4.9p↑), 경북 116.1(0.6p↑), 강원 115.4(12.8p↑), 제주 116.0(11.0p↑)이 상승했고, 서울 122.4(-44.3p↓), 경기 126.7(-35.0p↓), 인천 121.4(-23.4p↓), 충남 115.2(-11.5p↓), 대전 110.0(-5.6p↓), 세종 109.1(-4.0p↓), 전남 106.7(-3.1p↓), 광주 115.6(-10.6p↓), 대구 115.8(-15.1p↓), 울산 114.3(-10.1p↓), 경남 118.4(-9.9p↓), 부산 115.8(-12.0p↓)은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정부정책 효과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재고시장의 회복세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계절적 비수기와 함께 분양시장과 재고시장,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관관계까지 희박해져 정책의 방향과 효과는 더욱 불안해졌다고 설명했다. 사업환경의 지속성을 유지하지 위해서는 국회에 계류중인 각종 법안들의 조속한 입법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