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정책

'부산·서울·창원·영주' 도시재생사업 5530억 투자

국토교통부는 12일 지난 5월 지정된 13곳의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1차로 경제기반형의 부산시(2952억원)와 근린재생형의 서울시 종로구(459억원)·창원시(1765억원)·영주시(353억원) 4곳에 대해 총 5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은 쇠퇴한 옛 시가지나 노후 산업단지·항만, 공공청사·군부대·학교 등 이전적지(특정 시설이 옮겨가고 남은 빈 땅)의 산업·상업·주거 기능을 되살려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사업이다.

노후 산단·항만의 재생, 이전적지의 복합 개발, 역세권 개발, 지역의 역사·문화·관광자산 활용 등에 중점을 둔 '경제기반형'과 쇠퇴한 구도심, 시가지의 노후·불량 주거지역, 상권 등을 되살리는 '근린재생형'으로 유형이 나뉜다.

이들 도시재생선도지역은 작년 6월 제정된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쇠퇴가 심각하고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에 국가와 지자체가 집중적으로 재생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5월 지정됐고, 이후 지자체별로 주민 · 공공기관 · 지역단체 등과 함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입안하고,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계획안이 확정됐다.

국토부는 2017년까지 이들 4개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 포함)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중소기업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215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또 1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신설될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의 지원, 건축규제 완화, 행정적 지원 등을 통해 차질이 없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별 사업계획을 보면 경제기반형인 부산의 경우 부산역∼부산항 일원이 부산항의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는 것을 다시 정비해 경제 기반을 재구축하기로 했다.

부산역 일원에 정보통신기술(ICT), 관광, 영상 등 새로운 산업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해 도시관광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북항과 부산역, 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입주시킬 예정이다.

근린재생형인 서울 종로구 창신동·숭인동 지역은 70년대 봉제산업의 밀집으로 형성되었으나 봉제산업의 침체와 8년간의 뉴타운 사업 지연에 따른 갈등과 주거환경 악화 등으로 고통받던 지역을 주민커뮤니티 중심으로 다시 회복시키는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사업은 인근의 동대문 패션상가 등과 연계해 기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폐·공가를 창신·숭인동의 청년 디자이너들의 의류상품 제작 등 봉제 작업공간으로 제공하고, 패션상가와 안정적인 판로 구축을 통한 유통 플랫폼 조성을 추진 한다.

또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 중인 한양성곽을 활용해 마을관광자원을 개발하고 낙후한 주거환경 개선 사업,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도 벌일 계획이다.

창원시는 통합되기 이전 마산 지역의 역사성을 살려 골목길에 창동예술촌·창작공예촌 등을 조성하고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해 공원도 만들기로 했다.

영주시는 일제 강점기와 1950년대 지어진 근대 한옥건물이 남아 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에 대해 경관개선사업과 리모델링을 진행해 관광 수요를 끌어들이기로 했다.

또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 창출을 위해 생활공예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육성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올해 지정한 13곳 중 나머지 선도지역 9곳(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 동구, 대구 남구, 태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사업계획을 승인하고 계속 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