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 위해 뛰다가 극한의 기록까지 도전
코스 잘못 들면 원점으로…인생·일도 마찬가지
42.195㎞. 듣기만 해도 숨이 턱 막히는 이 거리를 선수도 아니면서 100번 이상 뛴 사람이 있다. GS건설의 이신옥 검사팀 부장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평범한 직장인이자 가장인 그는 지난 7월 1467㎞를 달려야 이룰 수 있는 울트라마라톤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데 이어, 지난 주말에는 80번째 풀코스 완주에 성공했다. 한달 평균 200㎞ 가까운 연습량을 포함하면 지구 한 바퀴를 뛴 셈이다.
◆신경정신과 잘못 찾고 마라톤 입문
지금은 쉽게 상상할 수 없는 대단한 기록을 소유하게 됐지만 이신옥 부장이 처음부터 마라톤에 큰 뜻을 품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애개?" 소리가 나올 만큼 아주 사소한 일이 계기가 됐다.
"2002년 어느 날 손·발가락 끝이 찌릿한 게 느낌이 이상하더라고요. 그래서 병원을 찾았는데, 신경외과를 간다는 게 신경정신과를 잘못 들어간 거예요. 당황해서 달려 나왔는데 묘하게 상쾌하더라고요. 그래서 이왕 이렇게 된 거 한 번 달려보자 결심을 했죠."
우연히 뛰었는데 기분이 좋아 계속 달리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후 집 근처 석촌호수와 회사 뒤편 남산에서 훈련을 하면서 몇 차례의 하프 마라톤을 완주했다. 그러자 점점 풀코스에 욕심이 생겼고, 6개월 만에 기회가 왔다.
"다른 신청자가 갑자기 펑크를 내서 그 대타로 나가는 것을 뻐꾸기 배번이라고 하는데, 제 첫 도전이 바로 그거였어요. 계획을 하고 준비했던 경기는 아니었지만 결국 4시간 54분 만에 완주를 했죠. 비록 옷에 사타구니가 다 쓸려 며칠을 고생했지만요."
풀코스 완주에 성공한 만큼, 남은 도전은 기록 단축이었다.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의 로망으로 꼽히는 sub-3(42.195㎞를 2시간 59분 59초 내 골인하는 것)는 이 부장도 꿈꾸던 바다. 이를 위해 매일 퇴근 후 2시간씩 잠실보조경기장을 찾아 훈련을 받았다.
"10번째 경기에서 1분도 쉬지 않고 뛰었는데 3시간 45분의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sub-3를 달성하려면 46분을 단축해야 하는데, 스피드를 높이는 방법밖에 없었죠. 그래서 서울마라톤클럽에 가입해 매일 연습했고, 공식 대회에서 3번의 sub-3를 기록했어요."
◆기록 연연하지 않고 주변 돌아보기 시작
풀코스 완주에 sub-3 달성까지. 이 기록만으로 만족하지 못했던 걸까? 이 부장은 올 7월 울트라마라톤 그랜드슬래머의 자리까지 올랐다. 울트라마라톤의 그랜드슬램은 ▲서해 강화도~강릉 경포대 횡단 308km ▲전남 해남~ 강원도 고성 전망대 종단 622km ▲부산 태종대~임진각 종단 537km의 3개 대회를 성공한 것을 이른다.
물론, 그에게도 실패는 있었다. 이 부장은 "2010년 처음 한반도 횡단에 도전했을 때였죠. 연습량도 부족했고, 한 번 포기하겠다 마음을 먹으니 한없이 무너지더라고요. 가려면 갈 수도 있었는데 제 자신이 너무 부끄러웠고, 다시는 내 사전에 포기는 올리지 않겠다고 결심했죠."
2011년 재도전에 성공한 뒤 자신감을 얻었지만 2012년 도전한 537㎞ 종단에서도 또 한 번의 실패를 맛봤다. 길을 알려주는 일반마라톤과는 달리 울트라마라톤은 참가자가 직접 코스를 알아보고 숙지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길을 잃었던 것이다.
"태종대에서 임진각까지 당시 3명이서 각 구간별 길 찾기를 담당했는데 한 사람이 도중에 하차하면서 모두 길을 잃게 됐어요. 그럴 때는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와 다시 시작하는 용기와 과감함이 필요한데, 달린 길이 아까워서 헤매다 포기하게 됐어요."
이처럼 마라톤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스포츠다. 체력과 끈기는 기본이고,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도 이겨야 하는 힘든 운동이다. 그러나 이 부장은 이게 바로 마라톤의 매력이라고 말한다.
"지금은 기록에 연연하지 않고 천천히 주변을 돌아보고, 하루를 정리하면서 뛰어요. 그 과정에서 복잡했던 일이 풀리기도 하고요. 특히 울트라마라톤에서 실패한 경험을 거울삼아 일과 인생을 효율적으로 풀어나가는 법도 배웠고요. 전 달릴 때 제가 살아 있는 것을 느껴요. 제 몸이 허락하는 날까지 계속해서 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