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올해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20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11월 현재 전국의 아파트값은 지난해 말 대비 2.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과 2013년 각각 3.79%, 0.13% 하락했던 아파트 가격은 올해 9·1부동산 대책 등 최경환 부총리 취임 이후 이어진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에 힘입어 올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통상 12월은 계절적 비수기로 접어들지만 11월 현재까지의 상승세를 감안할 때 연간 2% 초반대의 오름폭이 유지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지난해 1.57% 하락했던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값은 올해 1.9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아파트값은 11월 현재까지 2.05%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오름세로 돌아선 것은 2009년(5.88%) 이후 처음이다.
경기도 역시 2009년에 1.24%가 오른 뒤 2010년부터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올해 1.72%로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3.32% 올랐던 지방은 올해도 3.42%의 비슷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주택거래에 나서면서 수도권 아파트값이 오름세로 전환한 것이 올해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보인다"며 "특히 재건축 규제완화와 사업추진으로 재건축 단지들이 상승세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에 이어 대구시가 8.86%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충청북도가 6.46%로 두번째로 상승폭이 컸고, 경상북도가 4.55%, 충청남도 3.91%, 광주광역시가 2.91%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아파트값은 지난해 각각 12.07%, 9.97% 오른 것에 비하면 올해는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형별로는 주로 소형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전국 기준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값이 3.41%로 오름폭이 가장 컸고, 60∼85㎡ 초과 2.58%, 85㎡ 초과 중대형이 1.46% 각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경우 60㎡ 이하가 3.05%로 가장 많이 올랐고, 60∼85㎡가 2.15%, 85㎡초과가 0.96% 각각 상승했다.
지방은 올해 들어 각각 4.11%, 3.44%, 2.86% 올랐다.
그러나 작년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중대형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전용 60㎡ 이하는 지난해(2.07%)보다 올해 상승폭이 1.33%포인트 더 커졌지만 지난해 2.4% 하락했던 85㎡ 초과 중대형의 경우 올해 상승 전환하며 지난해대비 3.85%포인트가 올랐다.
서울시 역시 전용 60㎡ 이하의 상승률 지난해 0.54%에서 올해 2.66%로 가장 많이 올랐지만, 전용 85㎡ 초과 중대형이 지난해 -3.81%에서 올해는 1.42% 상승하며 지난해대비 변동폭이 5.23%포인트로 가장 컸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지난해 전용 60㎡ 이하 아파트값이 18.32% 올랐지만 올해는 6.66%로 상승폭이 크게 줄어든데 비해 85㎡ 초과 중대형은 지난해 6.29%에서 올해 9.36%로 상승폭이 더 확대됐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승세가 내년 이후에도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9·1부동산 대책의 약발이 떨어지면서 10월 이후 실제 거래량이 감소하고 가격도 지역에 따라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