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이 연중 최고치를 넘어섰다.
28일 부동산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은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88.8%로 잠정 집계돼, 이전 최고점이었던 지난 9월(9·1 부동산 대책 직후)의 낙찰가율 88.4%를 밀어내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또 이는 지난 2007년 4월(91.1%) 이래 가장 높은 낙찰가율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소재 아파트 경매시장은 연이은 낙찰가율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반영되면서 보합세로 접어든 반면 비수도권의 강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87.6%로 전월 대비 1.6%p 하락했다. 수도권 중에서도 지난달 낙찰가율 90%를 넘어 화제가 됐던 서울은 전월(90.5%)보다 2.5%p 내린 88%를 기록해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인천 낙찰가율이 전월 86.9%에서 이달 85.4%로 1.5%p 하락했고 경기도 낙찰가율도 전월 89%에서 이달 88%로 1%p 내려 앉았다.
반면 비수도권 소재 아파트 낙찰가율은 92.3%를 기록, 전월 84.8%에서 7.5%p 급등했다.
각 도별로 보면 비수도권 지역 중 특히 충청남도 아파트의 낙찰가율 상승폭이 가장 컸다. 충남 지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10월 62.8%에서 이달 87.5%로 24.7%p 올라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북이 10월(77.7%)보다 16.3%p 오른 이달 93.9%의 낙찰가율을 보였다.
특히 제주도는 아파트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 전국에서 도별 기준으로 가장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제주는 지난달 93.8%에서 이달 103%로 9.2%포인트 상승했다. 광역시별로는 대구가 107.2%를 기록해 최고였다.
반면 전남 낙찰가율은 78.8%로 도 지역 단위 중 가장 낮았고, 광역시 중에서는 대전이 낙찰가율 88.5%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강원은 91.5%에서 86.1%로 5.4%p 내려 하락률이 가장 컸다.
한편, 이달 들어 전국 경매 진행 물건 수와 낙찰가 총액은 연중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 27일까지 경매 진행된 아파트 수가 3016건, 남은 물건(변경건 제외)이 46건이다. 전국 아파트 낙찰가 총액은 2500억원으로 평균 낙찰가는 2억1813만원이다. 28일까지 평균 낙찰가에 경매 예정 물건(46건)이 모두 낙찰된다고 가정해도 최종 낙찰가 총액이 2800억원을 밑돌아 2010년 7월(2766억원) 이후 5년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 아파트 낙찰가 총액이 월간 기준 2800억원을 밑돈 것은 2010년 7월(2766억원) 이후 5년 4개월만이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입찰자 입장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서울이나 비수도권보다 조정 양상이 두드러지는 경기권 시장 사정이 더 나아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