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퇴한 옛 시가지나 노후 산업단지·항만 등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사업의 선도지역으로 지난 5월 지정된 13곳 중 대구 남구, 광주 동구 등 8곳의 사업계획이 확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들 8개 도시재생사업 선도지역의 사업계획이 최근 도시재생특별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 심의를 통과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로써 13개 선도지역 중 앞서 1차로 사업계획이 확정된 부산 동구, 서울 종로구, 경북 영주, 경남 창원 등 4곳을 합쳐 모두 12곳이 사업계획이 확정됐다.
이번 2차 선정에는 대구 남구(사업비 규모 240억원)와 광주 동구(506억원) 외에도 충남 천안(2080억원)·공주(1036억원), 전북 군산(727억원), 전남 목포(339억원)·순천(1천480억원), 강원 태백(103억원) 등 모두 8곳의 사업계획이 확정됐다.
총 사업 규모는 6500억원이다. 이 가운데 1100억원(지방비 포함)을 국토부가 2017년까지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중소기업청 등 7개 관계부처도 23개 사업에 1826억원을 지원한다.
또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을 활용하고 건축규제 완화 등을 통해 2792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사업도 차질 없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8곳은 모두 쇠퇴한 구도심이나 시가지의 노후·불량 주거지역, 상권 등을 되살리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 지역이다.
지역별 사업계획을 살펴보면, 대구 남구는 대학 캠퍼스가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상권이 침체되고 주거지가 노후화하고 있는 대명동 일원에 '복지·문화형'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또 광주 동구에서는 도청·시청 등이 이전하면서 도심 기능이 약화된 원도심(충장동·동명동 일원)에서 '도심문화산업 활성화'가 추진되고, 천안에서는 천안역 일대에 '청년문화·다문화' 중심의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이뤄진다.
공주의 경우 웅진동·중학동 일원에 풍부한 역사관광자원을 활용한 재생사업을 벌이고, 군산에서는 쇠퇴한 월명동 일원에서 근대 역사자원을 이용한 재생사업이 진행된다.
목포는 목월동 일원에 외부 관광객 유인을 위한 도심관광 활성화형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순천은 향동·중앙동 일원에 정원·생태를 테마로 한 도시재생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태백은 석탄 사업의 사양화로 쇠퇴한 통동 일원에 주민복지 중심의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정병윤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사업계획 확정으로 선도지역 12곳에서 본격적으로 지역개발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됐으며, 특히, 13개 부처 48개 사업(약 4000억원)에 대한 협업을 이끌어낸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며 "최근 주택도시기금 설치와 입지규제 최소구역 신설 등을 담은 법령이 국회를 통과해 다양한 방식의 도시재생사업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