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법원 경매 시장에서 수익형 부동산과 아파트의 전국 기준 낙찰가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5일 법원경매전문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상가·점포·근린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의 경매 낙찰가율은 평균 64.9%로 2001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매시장에 나온 수익형 부동산은 지난 19일 기준 2만6646건으로 이 가운데 2만1927건(진행건수)이 입찰에 부쳐져 24.5%인 5362건이 낙찰됐다.
평균 응찰자수도 지난해보다 0.2명 늘어난 2.8명으로, 역시 2001년 조사 시작 후 가장 많았다.
수도권의 수익형 부동산은 올해 낙찰가율이 평균 66.4%로 지난 2003년(67.8%)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평균 응찰자수는 2.9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수익형 부동산이 경매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저금리 장기화로 금융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임대수입을 올릴 수 있는 상가 등으로 자금 유입이 늘어난 때문이다.
이에 비해 수익형 부동산의 물건수(진행건수)는 올해 2001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대출금리가 크게 낮아지면서 경매로 나오는 물건 수는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 베이버붐 은퇴 가구들의 노후 재테크 상품 등으로 수익형 부동산의 투자수요는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경매 아파트도 크게 인기를 끌었다.
전국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86.2%로 역시 2001년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 응찰자수도 6.7명으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수도권 아파트는 연평균 85.7%로 2007년(92.3%)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응찰자수는 7.8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올해 아파트의 낙찰가율과 경쟁률 상승은 전국의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가 역대 최저치인 3만7049건으로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수도권은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가 가장 적었던 2002년(1만19건)과 2007년(1만2725건)에 평균 응찰자수가 각각 6.2명, 6.4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상대적으로 물건수가 많지만 응찰자수도 7.8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지옥션은 올해 전반적인 물건수 감소에도 경매시장의 총 응찰자수가 28만명 이상으로 2010년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