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2014 결산]-부동산-주택 매매가·거래량 모처럼 회복…분양시장은 '광풍'

[2014 결산]부동산-주택 매매가·거래량 모처럼 회복…분양시장은 '광풍'

올해 가장 많은 1순위 통장이 몰린 '부산 래미안 장전' 모델하우스 방문객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올해 주택시장은 정부의 규제 완화 기조에 힘입어 모처럼 회복세를 보였다. 2·26주택선진화방안, 부동산3법 처리 지연 등 헛발질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한 각종 대책들이 효과를 냈다.

특히 분양시장에 수요자들이 몰렸다. 1순위에서 청약을 마친 단지가 지난해보다 2배 넘게 늘었다. 또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상가·오피스텔 등 수익형부동산에도 뭉칫돈이 유입됐다.

◆수도권 아파트값 5년 만에 반등 성공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2.71% 상승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는 2.0% 올라 지난 2010년부터 이어진 5년간의 하락세를 마감했다.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 폐지, DTI(총부채상환비율)·LTV(주택담보인정비율) 비율 완화, 재건축 가능 연한 단축 등의 규제 완화 조치가 망설이던 수요자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집값 상승은 주택 거래 증가로 이어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적으로 91만4000가구의 주택이 거래됐다. 이는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6년 거래량(91만4000가구) 이후 최고치로, 정부는 12월까지 100만 가구가량 거래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정책의 수혜가 강남3구와 재건축아파트로 집중되면서 지역·상품별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강남3구 아파트값은 서울 평균(2.11%)의 2배 수준인 4.14% 올랐고, 재건축아파트는 일반아파트(1.44%)의 4개가 넘는 5.98% 뛰었다.

아파트 전셋값은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6.91%와 5.05%씩 올라 전국적으로는 6.24% 상승했다. 정부가 전세난을 잡기 위해 '8·28전월세대책' 등을 내놨지만 강세가 지속됐다. 그나마 지난해 1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서는 오름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팀장은 "입주 물량이 25만8000여 가구로 2010년 이후 최대치를 보인 데다, 전세에서 매매나 임대로 전환한 세대가 많아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둔화됐다"며 "그러나 이미 전셋값이 높은 만큼, 상승률은 줄었어도 부담은 늘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빛 발한 장롱 청약통장, 수익형부동산도 '후끈'

올 한해 아파트 분양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장롱 속 청약통장이 대거 쏟아져 나왔다. 삼성물산이 지난 10월 분양한 '부산 래미안 장전'에는 무려 13만2410건의 부산 1순위 통장이 몰렸다. 이 지역 1순위 통장 보유자 2.75명 중 1명꼴로 청약에 나선 것이다.

2006년 기록한 수도권 최고 경쟁률 기록도 8년 만에 깨졌다. GS건설이 10월 공급한 '위례자이' 아파트는 1순위 451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6만2670명이 접수해 평균 13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청약 광풍에 힘입어 올해 1순위에서 청약을 마친 단지는 지난해(64곳)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114곳에 이르렀다. 물량도 대폭 증가해 올 한해 전국적으로 24만4473가구가 공급됐다. 2013년(18만5968가구)보다 31.5% 늘었다.

가뜩이나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2차례나 인하하면서 제2의 월급통장으로 불리는 수익형부동산으로 뭉칫돈이 몰렸다. 특히 정부가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방침을 정하면서 상가·오피스텔 등의 상품이 인기를 끌었다.

올 상반기 분양한 '송파와이즈더샵' 상가의 경우 1주일 만에 마감되는가 하면, 지난달 기준 서울 근린상가 경매 낙찰가율은 92.15%에 달했다. 아파트 단지 상가의 낙찰가율도 83.63%로 집계됐다.

오피스텔은 공급 과잉에 따른 수익률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올해 4만2000여 실이나 분양됐다. 지난해에는 약 3만9000실이 공급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