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31일 올해 12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비 21.3p 상승한 91.7로 집계되어 4대강 사업 등의 영향으로 공공공사 발주가 급증했던 2009년 9월의 96.1 이후 5년 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전월인 11월에 9·1대책의 지수 견인 효과가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면서 크게 하락했으나, 12월 들어 연말에 공공공사 발주가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과 부동산 3법 입법화 영향으로 크게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또 "특히 12월 중순 이후 부동산 3법의 여야 합의가 이뤄졌고, 월말 국회에서 동 법안들이 통과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단, 아직 기준선(100.0)에 못미친 90선 초반이므로 체감경기가 침체 국면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수 상승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업체 규모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수가 상승했으며, 특히 중견업체, 중소업체 지수의 상승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업체 지수는 전월비 7.7p 상승한 100을 기록해 3개월만에 다시 100선을 회복했다. 중견업체 지수는 전월비 27p 상승한 97로 62개월만에 최대치를 보였으며, 중소업체 지수도 30.9p 상승한 76을 나타내 66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5년 1월 전망치는 전년도 12월 실적치 대비 9.7p 낮은 82를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실적치 대비 익월 전망치가 낮은 것은 건설업체들이 내년 1월에는 건설경기 침체수준이 12월보다 좀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의미"라면서, "1월에는 통상 공공공사 발주 감소를 비롯해 혹한기로 인한 공사물량 감소 영향으로 CBSI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번 12월에 큰 폭으로 상승한 데 따른 통계적 반락 효과도 작용할 것"이라며, "내년 1월에는 특별한 요인이 없는 한 CBSI가 전월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