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주택시장 전반의 동향을 나타내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국 전망치가 122.2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0.6포인트 하락한 것이지만 여전히 주택경기가 상승 국면에 있음을 뜻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이 전달보다 각각 4.2포인트, 1.4포인트 내린 130.3과 120.4을 기록했다. 지방은 1.0포인트 상승한 108.0이었다.
서울·수도권은 전달보다 지수가 하락했지만 전국 지수를 상회할 뿐 아니라 기대감의 절대적은 수준도 지방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130.3), 경기(128.0), 경남(121.7), 부산(120.9), 세종시(120.5) 등이 부동산 경기를 이끌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분양 관련 지수는 일제히 상승했다. 2월 분양계획지수는 14.8포인트 오른 120.6, 분양실적지수는 16.5포인트 뛴 125.5를 나타냈다. 다만 분양이 늘면서 미분양지수도 7.5포인트 상승한 68.5로 집계됐다.
주택건설 수주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 중에서는 재개발지수만 소폭(0.4포인트) 오른 96.0을 기록했고, 재건축지수(2.8포인트 떨어진 99.0)와 공공택지지수(4.0포인트 하락한 112.4)는 하락했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월이 주택시장의 비수기다 보니 소폭 하락했지만 그 폭이 오차 범위 내여서 여전히 주택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3월의 지수를 보면 상승 또는 하락의 방향성이 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