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현대차가 산 한전부지 실거래가 공시지가 5배..'지름신 효과?'

표준지 공시지가 7년 만에 최고 상승…4.1%↑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12년째 공시지가 1위

한전부지 실거래가 공시지가의 5배, 실제 최고가

서울 명동 입구 '네이처리퍼블릭' 부지가 전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당 공시지가가 8070만원으로, 3.3㎡(1평)당 2억6000만원에 달한다.

하지만 공시지가와 별개로 실제 가격이 가장 비싼 땅은 지난해 10월 현대차가 매입한 삼성동 한전부지로 파악됐다. 당시 현대차는 이 땅을 10조5500억원, 3.3㎡당 4억3882만원에 사들였다. 한전부지의 올해 공시지가는 3.3㎡당 약 8500만원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평가한 전국 표준지 50만 필지의 공시지가를 25일 공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나온 표준지 공시지가는 평균 4.1%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글로벌 경제위기 직전인 2008년(9.6%) 이후 7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6% 올랐고,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와 지방 시·군은 각각 5.4%와 6.0% 상승했다. 지방이 세종·울산·나주 등의 개발사업에 힘입어 땅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다.

시·도별로는 세종시가 정부청사 이전에 따른 각종 개발사업과 토지수요 증가로 15.5% 뛰면서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세월호 사고 여파로 관광객이 감소한 인천은 2.4%로 가장 적게 올랐다.

세종에 이어 울산(9.7%), 제주(9.2%), 경북(7.4%), 경남(7.1%) 등 12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인천을 포함한 충남(3.6%), 광주(3.0%), 경기(2.8%), 대전(2.5%) 등 5곳은 평균을 밑돌았다.

가장 비싼 표준지는 서울 충무로1가 24-2번지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다. 처음으로 8000만원을 넘기며 ㎡당 8070만원으로 평가됐다. 지난해 7700만원보다는 4.8% 상승했다.

이 땅은 2004년 ㎡당 4190만원을 기록하며 전국 최고 땅값 자리에 오른 이후 12년째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스타벅스와 파스쿠찌 등 커피전문점이 입점했다가 2009년 이후 화장품 매장인 네이처리퍼블릭이 영업 중이다.

공시지가와 달리 실제로 가장 비싼 땅은 삼성동 옛 한전부지로 3.3㎡당 4억3882만원에 달했다. 이곳의 올해 공시지가는 ㎡당 2580만원으로 전년(1948만원)보다 32.4%가 올랐다. 전국 평균 상승률을 크게 뛰어넘는 수치다.

그럼에도 여전히 3.3㎡당 공시지가는 실거래가의 5분의 1 수준인 8500만원에 그쳤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이 땅을 사면서 감정가(3조3000억원)의 3배가 넘는 10조5500억원을 써냈고, 이 일로 정몽구 회장이 주주로부터 고소를 당하기도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