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시장 훈풍에 묵혀뒀던 사업장 공급 잇달아
미착공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축소하기 위한 건설사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분양시장이 호황일 때 묵혀뒀던 미착공PF 사업장을 털어냄으로써 부실의 뇌관을 제거하겠다는 것. 특히 해외 손실 반영이 마무리 단계인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이 적극적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올해 3개 사업장에서 총 6305억원의 미착공PF 프로젝트를 착공PF로 전환한다. 경기도 평택 세교지구에서 2309억원, 광주 태전5지구와 6지구에서 3996억원이다.
GS건설은 업계 최대 수준인 1만23가구의 미착공PF 아파트를 분양한다. 이에 따른 감축액은 평택 칠원동삭1·2지구가 1929억원으로 가장 많고, ▲부산 오산동 1100억원 ▲고양 식사2지구 469억원 ▲김포 한강센트럴2차 259억원 순이다.
이 외에도 대우건설이 천안 성성(1450억원), 평택 용죽(161억원), 울산 신천(20억원) 등 3곳에서, 대림산업이 포항 장성(570억원) 1곳에서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없던 사업장도 만들어 분양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로 올해가 미착공PF 사업장을 해결할 절호의 기회"라며 "때를 놓치면 다시 발목을 잡힐 수 있다는 불안감이 건설사들 사이에 팽배해 있다"고 귀띔했다.
미착공PF 사업지 대부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착공이 지연된 곳들로, 이자와 세금 등의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태다. 분양시장이 호황인 지금 이들 사업장을 정리하지 못하면 건설사들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떠안고 갈 수밖에 없는 셈이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사들이 분양시장 회복세에 맞춰 적극적으로 미착공PF 사업장을 착공 전환하고 있다"며 "올해 말 업체별 미착공PF 잔액은 2014년 말과 비교해 최대 68%까지 축소돼 1조원 이하로 축소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미착공PF 사업장의 착공 전환에 따른 대출 부담 감소와는 별개로 수익성은 크게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과거 일부 건설사들은 미착공PF를 착공 전환하면서 40% 이상의 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몇 년간 누적된 금융비용, 세금 등이 수익을 갉아먹은 것.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시장 침체로 사업을 미룬 프로젝트도 있지만 애초에 비싼 땅값 때문에 사업성 자체가 없어 분양을 못한 곳들도 있다"며 "미착공PF 자체가 사업을 하더라도 수익이 거의 없거나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이 높고, 미분양 발생으로 더 큰 손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