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 변창흠號, '혁신' 닻 올랐다
주거복지·도시재생 두 마리 토끼 노려
SH공사가 조직 혁신을 통해 서울 시민들의 주거복지를 책임지는 도시재생 전문기관으로 변신한다. 변창흠 사장은 취임한 지 3개월 만에 민간과 차별화되는 도시재생과 주거복지 전문 공기업으로 거듭나겠다며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청사진에는 앞으로 SH공사가 나아갈 방향의 핵심과 세부계획이 모두 담겨있다. SH공사는 촘촘한 주거복지, 맞춤형 도시재생, 안심 주거서비스, 건전한 재정기반, 투명하고 청렴한 인사혁신 등 5개 분야에 걸쳐 14개의 혁신을 이뤄낼 예정이다.
◆공동체 시설·주택, '10분 동네' 실현
가장 먼저 내세운 주거복지 분야에서는 기존 11개 주거복지센터를 4개 권역별 주거복지단 체제로 개편키로 했다. 임대주택 공급과 시설물 관리에 치중하던 것을 주거비 지원, 민간주택 관리, 주거지원까지 기능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공사 또는 공공·지역사회가 보유한 자산을 활용해 '10분 동네' 실현을 위한 공동체 시설도 공급한다. 아울러 공공임대정책과 주거정책에서 배제됐던 계층을 대상으로 2018년까지 1만 가구의 공동체 주택도 공급한다.
당장 내년부터 1인 가구를 위한 주택을 연 2500가구, 노숙인과 장애인을 위한 자립·자활주택을 300가구, 민간주택 임차형 주택을 400가구, 민간 비영리조직의 사회주택을 100가구 공급할 계획이다.
SH공사 측은 "민간토지·시유지·구유지 등을 활용해 저렴하게 토지를 매입하고 자금 확보 방식도 다양화하겠다"며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임대주택 모델을 개발,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벨로퍼로 변신…리츠 설립키로
도시재생 분야에선 '공공 디벨로퍼(developer)'의 변신을 예고했다. 택지개발과 주택공급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탈피해 서울의 도시재생 전문기관으로서 도시경쟁력과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오다.
먼저 창동·상계 복합문화공연장 조성 등 서울시가 추진하는 사업에 참여하고, 300㎡ 내외의 공공 자투리땅을 이용해 부족한 시설을 공급한다. 또 열악한 주거지를 정비하고, 뉴타운 해제지역으로 자발적인 소규모 주거재생사업이 확산될 수 있도록 선도 투자한다.
이를 위해 공사 내부에 도시재생계정을 별도로 마련해 도시재생 사업을 위한 투자자금을 관리키로 했다. 또 도시재생 리츠(REITs)를 설립해 민간자본과 연기금 등 공공재원의 투자를 유인하기로 했다. 주거복지, 도시재생 지역전문가 5000명 양성도 약속했다.
◆시민 기대 부응코자 투명성 제고
안심 주거서비스 분야에선 '하자제로' 주택 건설을 실현하고,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우선 하자관리 전담직원을 3배 충원하는 서비스혁신처 신설을 완료했다. 여기에 하자관리 대행 전문업체와 계약하고, 입주 시 미처리 하자 비율이 10%를 넘으면 부적격 업체로 선정해 입찰 참가를 제한하는 동시에 긴급보수비용 100억원도 편성한다.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30분 내 응급조치, 3시간 내 복구, 3일 내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한다는 '3·3·3 안전시스템'도 구축한다.
SH공사는 민간자금 유치, 시유지 활용 등의 방법으로 재원 조달을 다양화해 2018년까지 부채도 3조원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부정·비리를 근절하는 '원아웃제'를 실시하고, 사장·감사·노조위원장 간 핫라인을 구축해 임직원의 고충처리 해결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변창흠 사장은 "서울시민과 함께 하는 약속인 만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며 "시민과 함께하는 주거복지, 도시재생 공공 디벨로퍼로 변하여 최고의 주거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