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IT에 빠진 건설사…스마트홈 구현 경쟁

현대건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HAS



건설사들이 빠르게 발전하는 IT기술을 아파트에 반영하면서 스마트홈 구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세대 내 USB타입의 충전기구를 설치, 각종 IT기기들을 별도의 충전기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제 애교 수준이다. 최근 선보이는 스마트홈 기술은 에너지 절감, 가스·조명 제어, 범죄 예방 등을 언제 어디서든 손가락 하나로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게 특징이다.

2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집안 내부의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HAS(Hillstate Smartphone Application System)를 개발했다.

오는 4월 분양 예정인 창원 감계지구 '힐스테이트2차'와 서울 은평구 '힐스테이트 백련산4차'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 앱을 다운받으면 세대 내 에너지 사용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사용량이 많을 경우 입주민 스스로 경각심을 갖고 에너지를 아끼는 효과가 기대된다.

대림산업도 지난달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 대쉬(DASH Daelim Application for Smart Home)를 만들었다. 대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통해 외부에서도 가스·조명·난방을 제어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는 등 월패드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 기존에는 월패드의 녹화 영상을 통해서만 방문객 확인이 가능했다. 하지만 대쉬를 실행해 실시간으로 방문객과 대화를 하고, 집이 비어 있는 사이 누가 다녀갔는지 부재중 방문자를 확인하는 게 가능해졌다. 대림산업은 용인 'e편한세상 수지'에 대쉬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포스코건설은 화재가 났을 때 세대 내 설치된 월패드와 스마트폰을 통해 비상경보가 울리도록 한 공동주택 소방안전 시스템을 개발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입주민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화재안전 가이드'를 탑재한 게 특징이다.

이 외에도 삼성물산은 블루투스 기술이 도입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인 '스마트 네트워크 하스(Smart Network HAS)'를 선보였다. 도 스마트폰에 뜨는 화면을 TV나 태블릿PC 등 다른 영상기기로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는 미러링(Mirroring)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미러링 주방 TV'를 공급하기도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