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택건설업체 10곳 중 7곳은 2분기 주택경기가 지난 1분기보다 더 좋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견 주택건설업체들의 모임인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최근 전국의 63개 회원업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5년 2/4분기 주택경기전망'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주택경기가 1분기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응답자의 32%(20개 업체)는 1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측했고, 1%만 침체한다고 답변했다. 지난 1분기 같은 질문에서 불변과 회복이라는 응답이 각각 49%와 35%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해 호전된 수준이다.
이는 1%대 금리인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 등의 영향으로 주택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주택업체들의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분기 부동산시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29%가 '금리기조'를 꼽았다. 이어 ▲실물경기 호전여부 27% ▲개발부담금 한시적 감면기간 연장, 주택금융·세제규제 완화 등 부동산 정책변수 21% ▲가계부채 문제 해결여부 9% ▲미분양아파트 해소여부 8%, ▲글로벌 경제변수 6% 순으로 응답했다.
주택건설경기 조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35%가 '주택사업금융(PF대출) 보증 활성화'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개발부담금 한시적 감면기간 연장 24% ▲기업형 주택임대사업 육성방안 보완 14% ▲공공건설임대주택 표준건축비 인상 10% ▲분양주택의 입주금 납부방법 개선 7% ▲주택조합원 자격요건 판단기준 개선 6% ▲공동주택 감리제도 및 하자담보책임제도 개선 3% 순이다.
또 '기업형 주택임대사업' 참여 의향을 묻는 설문에는 절반이 넘는 62%가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보완이 되면 참여할 의향이 있다' 45%, '참여할 의향이 있다' 17%로 조사됐다. 반면 13%는 '참여할 의향이 없다', 25%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최근 지속되고 있는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이 매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지에 대해서는 62%가 '그렇게 본다'고 응답했다. 36%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