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85㎡이하·초과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 (단위: 만원/3.3㎡)
서울 소형 아파트와 중대형 아파트간 매매가격 차가 크게 줄었다. 동작·서초 등 일부 자치구는 전용 85㎡ 이하 소형 아파트가 중대형 아파트값을 추월했다.
2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6년 말 서울의 전용 85㎡ 이하와 85㎡ 초과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 격차는 772만원 수준이었다. 2006년은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던 시기로 재건축 단지와 중대형 아파트가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소형·중대형 아파트 가격 격차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줄기 시작했다. ▲2009년 (563만원) ▲2010년 (536만원) ▲2011년 (486만원) ▲2012년 (412만원) ▲2013년 (353만원) ▲2014년 (324만원) ▲2015년 (313만원) 등 계속해 격차가 줄고 있다. 주택경기 침체와 인구구조 변화, 전세난 등으로 중소형 면적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서울 일부 지역은 전용 85㎡ 이하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중대형을 넘어섰다. 2006년 말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전용 85㎡ 초과 아파트가 85㎡ 이하 아파트보다 가격이 높았다. 그러나 올 들어 동작·서초·금천·성북 등 8개 자치구에서는 소형이 중대형 아파트 매매가를 추월했다. 동대문구는 전용 85㎡ 이하 아파트 가격이 1292만원으로 85㎡ 초과 아파트(1154만원)와 비교해 138만원 비싸다. 이밖에 ▲동작구(132만원) ▲관악구(109만원) ▲금천구(82만원) ▲성북구(82만원) ▲강북구(78만원) ▲서초구(66만원) ▲서대문구(5만원) 등 8개구에서 중소형 아파트 가격이 더 높게 형성돼 있다.
아파트 신규 공급 역시 소형 면적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전용 85㎡ 초과 아파트가 전체 공급 물량에서 35% 정도를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20% 내외 수준으로 줄었다. 2014년에는 15% 정도로 크게 낮아졌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송파구의 경우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약간 더 높긴 하나 격차가 불과 2만원 정도에 그치고 구로, 강서 등도 격차가 크지 않다"며 "소형이 중대형 아파트값을 앞지르는 지역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