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민간 손잡고, 수요자끼리 뭉치기도
최근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으로 인천 서창2지구에 공급된 'e편한세상 서창' 조감도
서로의 강점을 키워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컬레버레이션(협업) 바람이 부동산시장에도 불고 있다. 기업과 기업, 공공과 민간이 손을 잡고 사업을 추진하는 협업 전략이 최근 잇달아 시도되는 모습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공공기관과 민간건설사가 자금 부담은 줄이면서 수익은 공유하는 공공·민간 공동 프로젝트로, LH가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건설사가 건설과 분양을 맡는 방식이다.
LH는 공사비를 민간에서 조달해 부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민간건설사는 초기 비용(토지비) 부담 없이 사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앞서 LH는 지난 1월 대구 금호지구에서 대림산업 계열사인 삼호와 함께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 1호인 'e편한세상 대구금호'를 공급해 성공을 거뒀다. 평균 3.86대 1, 최고 12.8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 1순위 마감을 기록한 바 있다.
최근 같은 사업 방식으로 LH가 대림산업과 함께 인천 서창2지구 10블록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서창' 역시 최고 5.84대 1로 전 타입 순위 내 마감됐다. 서창2지구에서 분양한 첫 브랜드 아파트, 분양가가 3.3㎡당 830만원 선으로 비교적 저렴하다는 점이 부각됐다.
연내 LH가 계획한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 예정 물량은 4998가구다. 화성동탄2 A90블록 1067가구를 비롯해 ▲화성동탄2 A91블록(812가구) ▲인천서창2 5블록(1160가구) ▲논산내동2 C-1블록(756가구) ▲평택소사벌 B-1블록(566가구) ▲양산물금 40블록(637가구) 등이다.
공공사업에 민간자본이 합쳐진 '공공임대리츠 사업'도 뜨고 있다. 공공임대리츠 사업이란 LH가 보유한 공공택지를 리츠가 매입해 사업을 시행하고, LH는 주택건설과 공급, 분양전환 등의 자산관리업무를 맡는 방식이다.
정부는 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민간은 국채금리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이 사업을 위한 5개 기관투자자를 선정하고 민간자금 7550억원을 유치했다. 시범사업으로 하남미사·화성동탄2·김포한강·평택소사벌·시흥목감·오산세교·광주선운 등 7개 택지지구에서 리츠1·2호를 설립했다.
아파트 수요자들끼리 내 집 마련을 위해 협업하는 지역주택조합 사업도 인기다. 사업 소재지 또는 인접한 시·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무주택자나 전용면적 85㎡ 이하 1주택 이하 소유자는 청약통장 없이 조합원 가입이 가능하다.
최근 광주에서 대우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은 '이안 광주첨단'이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이례적으로 수백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