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스테이트 광교' 견본주택에 몰린 방문객들이 모형을 보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전세난·저금리·낮은 분양가 등 영향
부동산 매매시장의 비주류로 분류되던 20~30대가 내 집 마련에 나섰다. 기존에는 40~50대 중장년층의 부동산 계약률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젊은층의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대엔지니어링이 분양한 '힐스테이트 서천' 아파트의 계약자 중 20~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48%로 집계됐다. 40대가 35%로 뒤를 이었고 50대 12%, 60대 이상 5% 순이다.
올 1월 완판된 GS건설 '한강센트럴자이1차' 역시 20~30대의 계약률이 43%에 달했다. 다음으로 40대 29%, 50대 19%, 60대 9%의 비율을 보였다. 포스코건설이 지난해 11월 공급한 '송도 퍼스트파크'도 85㎡ 이하 중소형에서는 20~30대가 37.8%를 차지했다.
2030세대의 청약 열풍이 거세진 가장 큰 이유는 전세난 때문이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한 젊은 세대들이 차라리 집을 사자는 생각에 분양시장으로 발길을 돌린 것이다.
초저금리가 지속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해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인하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사상 처음으로 1%대로 낮췄다. 현재 기준금리 1.75%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2.00%)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가뜩이나 전세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돈까지 쉽게 빌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자 내 집 마련에 나선 젊은 세대들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저금리 기조로 돈을 모으기 어려워지면서 대표적인 수익형 상품인 오피스텔 투자를 선택하는 2030세대도 등장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공급한 '힐스테이트 광교'와 대우건설 '마포 한강2차 푸르지오' 오피스텔은 각각 20~30대 비율이 33%와 23%로 파악됐다.
최근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소형화로 분양가가 비교적 저렴하게 책정되는 것도 젊은 세대를 끌어들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전세난에 저금리 기조와 소형평대의 높지 않은 분양가가 더해져 젊은층이 부동산 매매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분양가 상한가 폐지로 매매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지만 큰 변동이 없다면 한동안은 젊은층의 매매 수요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