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분기 서울 반전세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6.7%를 기록, 5분기 연속 하락했다. 주택을 제외한 기타 주거유형의 전환율도 지난해 평균(8.2%)보다 0.6%포인트 하락한 7.6%로 나타났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계약이 끝나고 재계약할 때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하면서 적용하는 이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다는 뜻이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전·월세전환율은 지난해 1분기 7.7%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올 1분기 6.7%로 조사됐다.
자치구별로는 종로구가 8.0%로 가장 높았다. 동대문구와 중구가 각각 7.6%와 7.5%로 뒤를 이었다. 송파구(6.0%)를 비롯한 광진구(6.1%)와 양천구(6.2%)는 하위 3개 구에 속했다.
권역별로는 종로·용산·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이 7.6%로 가장 높았고, 서초·강남·송파·강동구가 속한 동남권이 6.3%로 가장 낮았다.
지역간 전월세전환율 격차가 가장 큰 주택 유형은 다세대·연립주택으로 최고치와 최저치가 1.9%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단독·다가구 주택은 1.2%포인트, 아파트는 0.6%포인트였다.
전세보증금액별로는 1억원 이하가 7.7%로 나타났다. 1억원 초과 5.8~5.9%보다는 2%포인트가량 높아, 전세금이 낮을수록 월세전환에 따르는 부담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오피스텔·원룸 등 주택을 제외한 기타 주거유형의 1분기 전월세전환율은 7.6%로 집계됐다. 작년에 이어 여전히 주택보다 높았다. 동북권과 서북권이 7.8%로 최고치를, 동남권(6.6%)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타 주거유형 중 월세로 전환된 물량이 가장 많은 구는 관악구, 영등포구 순이다. 이들 지역으로 구성된 서남권이 서울 전체의 과반수(54%)를 차지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전월세전환율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교통이 편리한 도심권의 소규모 월세 인기는 여전히 높은 편"이라며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는 등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대책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1분기 전월세전환율을 서울통계 홈페이지와 (http://stat.seoul.go.kr)와 서울부동산정보광장(http://land.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