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콘 사업부 내 5개 공장 매각… 부채비율 6.8% 감소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두산건설이 자산매각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강화하고 사업 재개편에 나서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두산건설은 오는 6월까지 렉스콘 사업부를 매각할 계획이다.
매각 대상 공장은 렉스콘사업부가 보유한 6개의 공장 중 안양·인천·광주·울산·부산공장 등 5개다.
매각은 공장별 분리해 자산양수도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규모는 자산양수도 1119억원이며, 울산공장의 주식양수도를 포함할 경우 1300억원 수준이다. 매수자는 정선레미콘 외 3개사다.
렉스콘 사업부는 레미콘과 콘크리트를 제조·판매하는 부서다. 앞서 렉스콘은 지난 2004년 고려산업개발과 합병을 통해 두산건설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이후 지난해 1월 흡수합병으로 본사 사업부로 편입됐다.
이는 영업·연구개발(R&D) 시너지 창출로 경쟁력을 강화해 레미콘 업계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조치였다.
합병 전 렉스콘은 업황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렉스콘의 지난 2013년 영업이익은 43억6385만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합병 이후 지난해에는 86억원의 영업익을 기록했지만 본사의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렉스콘을 되팔기로 한 것.
두산건설은 이번 매각을 통해 이자비용은 연간 104억원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부채비율은 기존의 158.2%에서 151.4%로 6.8%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여기에 15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CB) 발행도 추진하고 있어 연내 만기 차입금인 2500억원을 상환할 수 있다.
해운대 AID, 청주 지웰의 준공과 입주로 3분기 이후 추가 유동성 자금도 유입이 기대된다.
두산건설의 현재 차입금 규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현재 이회사의 총 차입금은 1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7300억원)보다 13% 줄었다. 두산건설은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올해까지 순차입금 규모를 1조4000억대까지 줄일 계획이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이번 매각은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추진됐다"며 "이와 더불어 현재 순차입금과 이자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자재 사업기반이 강화되고 있는 미국, 러시아 등에 진출 균형있는 지역 다각화를 달성 중이고 국내 시장에서는 인천 가좌 주공2단지 재건축, 울산 대현두산위브 주택 분양 재개와 준공 후 미분양 물량 해소를 통한 채권 회수로 현금 창출에 주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