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전세값도 동반 상승…오름세는 다소 둔화
서울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2년여 만에 5억원대를 회복했다. 전국 아파트값도 21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26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5월 전국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은 5억198만원으로 조사됐다.
앞서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2011년 6월 5억4559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후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전국 아파트값도 전월 대비 0.45% 상승했다. 연간으로는 총 1.9% 올랐다.
광역시 중에서는 대구(5.03%), 광주(3.3%), 인천(2.49%)지역의 연간 아파트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대구는 그동안 많이 상승한 부담감으로 거래는 활발하지 않지만 여전히 매매시장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고, 광주는 호남선 KTX개통 호재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전국의 단독과 연립 매매가도 각각 연간 1.16%, 1.06% 상승했다.
전세가격도 오름세다.
이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올 들어 3.92% 상승했다.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비율(전세가율)도 68.8%로 조사됐다. 전세가율이 70%를 넘는 곳은 강북구(70.4%), 도봉구(70.1%)를 비롯해 25개 구 가운데 13개 구로 조사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월 대비 0.46%(연간2.44%↑) 상승했다. 광역시 중에서는 대구(3.95%), 인천(2.91%)지역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세가의 지속적인 상승, 저금리, 부동산 규제완화 등으로 신규 분양시장과 매매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이달들어 연휴에 각종 기념일 등으로 부동산시장이 전반적으로 한산해 졌고 매도가격과 매수가격의 차이로 매수세가 다소 둔화되는 양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