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박선옥기자]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으로 건설사업이 날개를 달게 된 가운데 '래미안'으로 대표되던 주택사업의 향방이 주목되고 있다. 삼성물산은 최근 1~2년간 재건축·재개발 사업 수주는 물론, 택지 확보 경쟁에서도 한 발 빗겨난 모습을 보이며 주택사업 비중을 줄여가던 차였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키로 결정함에 따라 건설부문의 외형 확대 가속화가 예상된다.
합병 삼성물산은 리조트, 패션, 건설, 상사 등 4개 부문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건설부문이 양사 매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만큼,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무엇보다 삼성물산은 건설과 토목에, 제일모직은 조경과 빌딩관리에 강하다. 빌딩 사업을 제외하곤 사업이 겹치지 않아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삼성물산이 건설, 특히 주택사업의 비중을 계속 줄여왔던 터라, 합병 후 '래미안'의 운명도 결정될 전망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1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줄었다. 주택사업의 매출액이 6617억원에서 4260억원으로 35.6%나 감소한 게 컸다. 매출에서 주택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분기 20% 수준에서 올해는 14%로 낮아졌다.
주택사업 관련 수치는 앞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더욱 높다. 아파트를 지을 신규택지를 확보하는 움직임도 보이지 않을뿐 아니라, 2013년 10월 과천주공 7-2단지 재건축 시공권을 따낸 이후로 신규 수주에도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은 이에 대해 "의도적인 사업 축소는 아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주택사업을 접으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보내왔다. 심지어 아파트 브랜드 '래미안'을 없앨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합병 소식과 함께 주택사업의 확대를 예상하는 시각이 많아진 상태다. 제일모직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조경사업과 에너지절감 기술이 주택 상품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리조트 설계 역량 유입에 따른 영업력 강화도 예상할 수 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매년 1만여 가구 정도의 분양물량을 유지하고 있고, 수익성이 있는 사업이라면 수주에 나설 계획"이라며 "합병 후 제일모직의 브랜드 마케팅 관리 역량으로 래미안 인지도 상승은 물론, 상품성 향상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합병 자체가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이뤄진 만큼, 주택사업이 지배구조 개편에 걸림돌이 된다면 없앨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시너지 효과로만 본다면 주택사업은 당분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