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주택시장 거래·공급·가격 트리플 상승"
매매가 1.1%-전세가 1.6% 상승 전망
[메트로신문 박선옥기자] 하반기 주택시장도 상반기의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거래·공급·가격 트리플 상승세를 띨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3일 '2015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번 하반기 전국적으로 매매가는 1.1%, 전세가는 1.6%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전체적으로는 매매가 2.5%, 전세가 3.5% 상승을 점쳤다.
연구원은 "지난해 말 부동산3법이 통과되면서 주택가격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수도권은 하반기에도 1.3%의 상승이 기대되면서 올 한해 3%가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전망치였던 2%보다 1%포인트 상향조정된 수치다.
전세가격은 저금리, 민간아파트 준공물량 부족, 서울 재건축 이주수요 여파로 상승압력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다만 상반기보다 오름폭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강남4구의 수급 불일치로 서울시의 전세가격 상승압력이 경기도까지 확산된 상황"이라면서도 "최근 매매전환이 활발해지면서 전세수요가 분산되고 있고, 전세가율이 높아지면서 전세금 상승에 한계가 있어 전세가격 상승률은 다소 축소될 수 있다고"고 분석했다.
하반기 주택거래전망 BSI는 수도권 157.4, 지방 102.7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지방은 상반기 수준의 주택거래가 유지되고, 수도권은 매매거래가 증가하면서 시장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원은 "상반기 주택시장이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는 거시경제를 견인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불안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하반기 안정적 회복세로 진입하고 거시경제를 견인해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도록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금리인상 가능성, 가계부채 문제 등이 안정적 회복기에 진입해야 하는 주택시장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거시경제 차원의 재정·통화정책과 주택정책을 통합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정책적 조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