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거침없는 지방광역시…매매·거래·분양시장 '싹쓸이'

거침없는 지방광역시…매매·거래·분양시장 '싹쓸이'

수요층 취약하고 가격도 많이 올라 '거품' 우려

연제 롯데캐슬&데시앙 투시도



[메트로신문 박선옥기자] 지방광역시 주택시장의 인기가 꺾이지 않고 있다. 지방광역시의 경우 수도권보다 1년 앞서 회복세를 탄 데다 수요도 한정된 탓에 더 이상의 상승은 어렵다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기존 주택시장을 비롯해 분양시장도 호황을 누리며 전문가들의 전망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9일 KB국민은행 부동산자료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5대 지방광역시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883만원이다. 지난해 5월 815만원과 비교해 1년간 8.35% 올랐다. 같은 기간 수도권이 4.07%, 5대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4.43% 뛴 것과 비교하면 2배가량 높은 수치다.

거래도 활발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4월 말 현재 5대 지방광역시 아파트의 매매 거래 건수는 1만9082건이다. 올 들어 꾸준히 증가하며 지난 1월(1만4516건) 이후 31.45% 늘었다.

매매·거래시장의 강세는 높은 전세가율에서 기인한다. 5월 말 지방광역시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73%로, 전국(71.5%)과 수도권(72.2%)보다 높다. 특히 광주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77.5%에 달한다. 집을 사지 않고는 못버티는 수준인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새로 분양하는 단지들도 족족 높은 경쟁률로 마감 행진을 벌이고 있다. 5월까지 이들 지역에서 공급된 34개 단지 중 31곳이 1순에서 마감됐다.

지역별 청약경쟁률도 광주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이 51.32대 1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이어 울산 37.57대 1, 대구 37.16대 1, 부산 25.77대 1 순이다. 대전을 제외한 4개 광역시가 전국 17개 시·도 경쟁률 상위 1~4위를 차지한 것이다.

개별 단지를 살펴보더라도 지난 4월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서 분양된 '광안 더샵'은 1순위에서 평균 379.0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84.98㎡B 타입은 무려 1141.67대 1의 청약률을 보였다. 올해 분양 아파트 중 최고 기록이다.

같은 달 광주 북구 용봉동에서 청약을 받은 '아델리움 in 비엔날레'도 평균 경쟁률이 116.37대 1로 집계됐다. 5월 대구 수성구 신천동에 공급된 '동대구 반도유보라' 역시 평균 273.8대 1, 최고 584.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인프라가 잘 갖춰진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2만 가구 이상 신규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고, 입지·브랜드가 좋아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당장 롯데건설과 태영건설이 부산 연제구 연산4구역을 재건축한 '연제 롯데캐슬&데시앙' 분양을 준비 중이다. 이 외에도 코오롱글로벌이 대구 동구 괴전동에서 '안심역 코오롱하늘채'를, 현대산업개발이 울산 중구 복산동에서 '복산 아이파크'를 이달 공급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다만 실수요자라면 매매나 분양은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지방은 수도권보다 수요층이 두텁지 않고 이미 매매가와 분양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실수요자라면 무턱대고 추격 매수를 하기 보다 자금에 맞춰 내 집 마련에 나서는 게 좋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