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비수기에 들어서고도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메르스 여파로 수요가 확대되진 않았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0.07% 올랐다.
이 기간 서울은 전주 대비 0.10% 상승했다. 오름폭은 지난주(0.09%)보다 소폭 증가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금천(0.54%) ▲동작(0.22%) ▲마포(0.16%) ▲송파(0.14%) ▲강남(0.13%) ▲노원(0.13%) 순으로 매매가격이 올랐다.
금천은 중소형 저가 매물이 많은 시흥동 벽산타운5단지가 1000만원가량 올랐다. 동작은 노량진동 신동아리버파크와 사당동 대림이 500만원~1500만원 오른 가격에 거래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신도시 제외)은 지난주와 유사하게 각각 0.02%, 0.05% 상승해 강보합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저렴한 매물 소진 이후 오른 가격으로는 거래가 힘든 모습이다. ▲산본(0.07%) ▲중동(0.04%) ▲평촌(0.03%) ▲판교(0.03%) ▲분당(0.02%) ▲김포(0.02%) 등 순으로 상승했다.
산본은 산본동에 위치한 가야5단지주공이 250만원-500만원 상승했다. 6월 들어 매매수요는 감소했지만 4-5월에 저렴한 매물이 대거 소진된 이후 오른 가격에 시세가 형성됐다.
경기ㆍ인천은 ▲고양(0.22%) ▲과천(0.18%) ▲구리(0.11%) ▲김포(0.10%) ▲안산(0.10%) ▲광명(0.08%) ▲시흥(0.06%) ▲의정부(0.05%) ▲남양주(0.04%) ▲수원(0.04%) 등 순으로 상승했다.
전세시장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8%를 기록했다. 전세값이 상승한 곳은 ▲금천(0.97%) ▲양천(0.48%) ▲마포(0.45%) ▲동작(0.36%) ▲서대문(0.32%) ▲중랑(0.28%) 등이었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의 전세값은 전주 대비 각각 0.02%, 0.08% 올랐다.
신도시는 ▲광교(0.05%) ▲평촌(0.04%) ▲중동(0.04%) ▲분당(0.03%) ▲일산(0.03%)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재건축이 진행 중인 과천(0.57%)이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이어 ▲고양(0.37%) ▲김포(0.24%) ▲구리(0.11%) ▲안산(0.09%) ▲남양주(0.08%) 순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