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대체 상품으로 뜨면서 평면 다양해져
복층형으로 꾸며진 대농지구 롯데캐슬 시티 53F 평면도
원룸형의 천편일률적 설계만 선보이던 오피스텔이 평면 경쟁에 뛰어 들었다. 5~6개는 기본이고, 20개 이상의 타입을 선보이는 오피스텔까지 등장했다. 오피스텔의 용도가 업무용에서 사실상 주거용으로 변하면서 주거만족도를 높이려는 수단으로 다양한 평면이 부각되고 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2~3룸, 2면 개방형, 욕조가 있는 욕실 등 아파트에서나 볼법한 평면이 오피스텔에도 잇달아 적용되는 추세다.
이처럼 다양한 타입의 오피스텔이 등장하는 데는 수요자 취향 반영 외에도 높은 아파트값이 영향을 미쳤다. 신혼부부를 비롯한 20~30대 젊은층들이 비싼 아파트를 대체할 주거지로 오피스텔을 꼽으면서 오피스텔이 변신에 나선 것이다.
리얼투데이 장재현 팀장은 "소득 대비 높은 아파트 가격, 1인과 2~3인 인구의 증가로 오피스텔이 소형주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며 "최근 아파트처럼 다양한 평면으로 지어진 오피스텔이 청약 결과가 좋은 것도 이 같은 이유"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청약을 받은 서울 광진구 자양동의 '래미안 프리미어팰리스' 오피스텔은 51실을 공급하면서 무려 36개 타입을 선보였다. 그 결과 532명이 접수해 10.4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을 비롯해, 1군(34~38㎡)은 14.8대 1의 최고 청약률을 보였다.
지난 19일 충북 청주 대농지구에서 모델하우스를 오픈한 '롯데캐슬 시티'는 오피스텔임에도 주말까지 3일간 1만5000여 명의 방문객이 다녀갔다. 원룸과 투룸 9개 타입으로 상품을 구성했다. 특히 일부 세대에는 테라스를 조성했고, 복층 타입도 선보였다.
대우건설이 경기도 성남시 성남동에 분양한 '성남 센트럴 푸르지오 시티'는 20개 타입으로 설계됐다. 지난 12일 모델하우스 오픈 후 주말까지 70%의 계약률을 올렸다. 20개 타입 중 93%가 전용면적 20~28㎡의 소형이고, 40~49㎡ 88실은 거실 포함 2룸 구조다.
이 외에도 경기도 수원 영통에 현대산업개발이 공급한 '영통역 아이파크'가 A∼G타입 7개로 이뤄졌다. 서울 용산에서 삼성물산이 선보인 '래미안 용산SI'도 총 15개 타입으로 꾸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