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 우남역 푸르지오 모델하우스를 찾은 방문객들이 모형도를 살펴보고 있다.
[메트로신문 박선옥기자] 분양시장의 주 수요층이 '5060 베이비붐 세대'에서 '3040 에코세대'로 교체되고 있다. 전세난과 저금리의 영향으로 아파트를 분양 받는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는 것. 특히 수도권 외곽지역은 30대, 유망 신도시나 산업단지 인근은 40대 계약자가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분양시장의 최대어로 꼽힌 위례신도시의 '위례 우남 푸르지오'는 계약자 중 3040세대의 비율이 62.7%에 달했다. 40대가 38.2%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24.5%를 차지했다. 이어 50대 22.6%, 60대 이상 7.9%, 20대 6.8% 순이다.
'위례 우남 푸르지오'는 계약금이 20%에 달해 5~10%인 다른 단지에 비해 초기 부담이 컸다. 그럼에도 마지막 남은 강남권 신도시라는 높은 미래가치에 힘입어 에코세대가 대거 몰렸다.
최근 부산에서 청약 돌풍을 일으킨 '해운대 자이2차'의 당첨자 역시 40대가 38.4%에 달했다. 다음으로 30대 28%, 50대 26.9%, 20대 6.5%다.
최근 2년간 인근 '해운대 자이1차'의 가격이 1억원가량 오른 사실이 알려지며, '해운대 자이2차'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의 관심도 집중됐다.
해운대구 우동의 중개업소 관계자는 "당첨만 되면 웃돈이 4000만원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았다"며 "이전 같으면 자금력이 약한 3040세대는 관심만 가질 뿐 실제 청약에 나서지는 못했겠지만 지금은 돈을 빌리기가 쉬워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말했다.
지방 산업단지 역시 40대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충북 충주의 첨단산업단지에서 분양 중인 '충주 코아루 퍼스트'는 40대의 계약 비율이 39%로 가장 높다. 30대가 25%, 50대가 22%로 뒤를 잇고 있다.
조현태 충주 코아루 퍼스트 분양본부장은 "저금리 여파로 저축으로는 돈을 모으기가 힘들어지면서 젊은층들도 월세 상품에 관심을 많이 갖는 편"이라며 "산업단지 소형아파트다 보니 월세 수요가 많을 것이라는 판단에 3040세대가 투자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세가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수도권 외곽에서는 전세난에 지친 30대의 계약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초기 대규모 미분양에도 불구하고 올 초 완판된 경기도 김포시의 '한강센트럴자이1차' 계약자는 30대가 40%에 이른다. 이어 40대 29%, 50대 19% 순이다.
경기도 화성 봉담읍에서 분양 중인 '봉담 센트럴 푸르지오'는 인근의 대학가 수요와 널리 분포된 산업단지 등으로 직주근접 수요층이 두텁다 보니 30대의 '새 아파트 갈아타기' 열기가 뜨겁다. 6월 말까지 80%가 계약된 가운데 30대의 비율이 43%로 가장 높다. 이어 40대 30%, 50대 17% 순이다.
경기도시공사가 경기도 남양주시 다신신도시 진건지구에 분양한 '자연&롯데캐슬'과 '자연&e편한세상'의 계약자 연령대별 분포 또한 30대가 47.82%로 가장 높다. 또 40대는 29.88%, 50대 이상은 20.91%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팀장은 "저금리로 돈을 빌리기는 쉬워진 반면 돈을 모으기는 어려워지면서 3040세대도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많이 갖는 편"이라며 "이에 3040세대가 전통적인 부동산 수요층 5060세대를 밀어내고 주류로 우뚝 서게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