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치과] Dr. 송정우의 치아교정 Q&A

설측교정과 순측교정 기간·효율성 비슷해

Q. 치아교정할 때 설측교정이 순측교정 보다 오래 걸리나요?

A.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그렇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송정우 원장 (센트럴치과 서울시청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치과교정학회 정회원- 대한소아치과학회 정회원- 대한심미치과학회 정회원- RWISO(Roth Willams International Society of Orthodontists) 정회원- Roth Williams course 수료 / RWKSO 정회원



▲설측교정 vs. 순측교정 치아 이미지



예전에는 치아안쪽의 해부학적 형태에 기인한 요인으로 장치의 부착이 제한되고 교정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적용의 어려움 때문에 바깥으로 하는 장치의 치료보다 진행이 늦은 측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설측교정을 위한교정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는 개선이 이뤄졌고 교정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의 물성도 설측에 최적화 되어 치료기간이나 효율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설측교정이 순측교정에 비해 조금 더 까다로운 편입니다. 설측교정은 치아 안쪽에 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위치선정, 치아안쪽 상태 등 시야확보에 제한적입니다. 또 사람마다 생김새가 다르듯이 치아상태도 제각각으로 겉에서 보이는 환자의 치아상태와 달리 치아 안쪽의 단면은 울퉁불퉁하고 각 치아마다 정도가 달라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하는 위치 등에 차별을 두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치아교정치료 경험이 많은 의료진에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환자들이 설측교정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심미성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순측교정은 교정장치가 외부로 보이며 장치로 인해 입 부분이 더 튀어나와 보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설측교정은 치아 안쪽에 장치를 부착하기 때문에 장치가 외부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심미성을 고려한다면 설측교정 외에 치아 윗쪽은 설측교정으로 아래 치아는 순측교정으로 진행하는 콤비교정도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거나 웃을 때 윗치아는 그대로 드러나는 반면 아래치아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동을 예상한 치아모양에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치아교정 틀을 만들어 착용하는 투명교정도 심미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치아교정 시 심미성만을 고려해 무조건 설측교정이나 투명교정을 선택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치료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 돌출입이나 무턱, 거미스마일처럼 골격성돌출입을 가진 환자들은 설측교정 방식으로 진행하는 '킬본(KILBON)'처럼 돌출입치료에 특화된 치아교정법을 선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