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윤정원기자] 내년 4월 20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당원모집 경쟁에 불이 붙었다. 내년 총선에서는 경선을 통해 유권자나 당원들이 후보를 직접 결정하는 상향식 공천이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이자 미리 대비하자는 차원에서다. 여야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과 선거구 획정 등의 선거제도를 놓고 대립하면서 20대 총선 제도가 어떻게 결정될지 불투명해지자 여야 후보자들은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세력을 입당시켜 조직기반 다지기에 나선 양상이다.
여야 모두 선거권을 가진 책임당원 또는 권리당원이 되기 위해선 최소한 6개월 이상 당비를 내야 한다는 조건을 달고 있다. 따라서 각 당이 내년 1, 2월께 경선을 통해 20대 총선 후보를 결정한다고 가정하면 늦어도 이달까지는 입당해야 투표권이 확보되므로 모집 경쟁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새누리당에선 이미 지난 4∼5월 한바탕 치열한 당원모집 경쟁이 벌어진 바 있다. 특히 '공천이 곧 당선'으로 간주되는 서울 강남 등 수도권 일부 지역과 영남권, 선거구 재획정에 따른 분구 및 현직의 불출마가 예상되는 지역 등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대구 지역의 경우 북구을과 달서을 등을 중심으로 총선 출마 예정자들이 수천 장의 입당원서를 제출했고, 현역 의원들도 이에 '맞불'을 놓으면서 경쟁이 과열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하루 이틀 사이 수천 장의 입당원서가 제출된 사례도 있었다.
오픈프라이머리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당내 경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새정치연합의 경선방식은 선거인단 구성을 '국민 60%, 권리당원 40%'로 규정하고 있다. 지난달 20일 당 중앙위원회를 통과한 혁신안에 따르면 경선 전 1년간 6회(기존 3회) 이상 당비를 내야 선거권이 주어진다. 따라서 새정치연합의 총선 후보 경선에서 투표권을 갖는 권리당원이 되기 위해선 늦어도 이달까지는 입당해 당비를 납부해야 한다.
당원모집경쟁이 뜨거워지면서 새정치연합의 경우 올해 1월 3348명이었던 신규 당원은 6월에 3만9053명, 지난달 2만1136명으로 큰 폭 증가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들 가운데 당비대납을 기대하고 이름만 올려놓은 당원들이 있어 당원 상당수가 내년 경선에서 선거권을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